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안에 대한 엘리엇의 반대를 계기로 헤지펀드 공격에 국내 기업들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 국내 2천여개 상장사가 새로운 기업 경영권 방어 장치 도입이 시급하다고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박승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2003년 투기자본 소버린은 SK그룹을 공격해 2년만에 9,000억원대의 차익을 올리고 한국을 떠났습니다.
2006년 칼 아이칸의 경우 KT&G를 압박해 1,500억원의 차익을 챙겼습니다.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반대에 이어 최근 현대차의 지배구조 개편에 반대에 나선 엘리엇도 상황은 다르지 않습니다.
국내 대기업의 지배구조 개선 과정에서 일부 행동주의 헤지펀드의 공격이 반복되고 있는 겁니다.
문제는 이런 행동주의 헤지펀드의 공격이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데 있습니다.
현재 전체 상장사 1,992개 가운데 111개사의 최대주주 지분이 외국인 지분보다 적습니다.
상황이 이러한데 이를 막을 마땅한 수단도 없는 게 현실.
경영권 방어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싱크> 정구용 한국상장사협의회 회장
"우리나라의 M&A 관련 법제는 전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경영권 방어자에게 매우 불리하고 불공정한 제도적 취약점이 있다. 이런 불공정성으로 우리 상장사는 막강한 자본력을 가진 일부 행동주의 펀드의 경영간섭과 경영권 위협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대책으론 기존 주주들에게 싼 가격에 주식을 발행해 우호 지분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포이즌 필 제도'나 경영진이 소유한 주식에 더 많은 의결권을 주는 '차등의결권' 도입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감사 선임시 3% 대주주 의결권 제한 등 경영권을 제약하는 요소 완화도 요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들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
재벌 오너일가가 순환출자를 이용해 적은 지분으로 그룹을 장악하는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주주친화정책이 우선돼야 한다는 겁니다.
결국, 국내 기업들이 사회적인 책임을 다하고, 소액주주에 대한 배려를 강화해 외국 투기자본이 반기업정서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박승원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