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척추센터 장동균 교수, 국립암센터 자궁암센터 장하균 전문의 공동 연구팀은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50세 폐경 전 여성 5천32명을 대상으로 초경 연령과 골밀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결과를 보면 조사 대상자의 초경 연령에 따른 평균 허리 골밀도(g/㎠)는 ▲ 12세 미만 0.9981 ▲ 12∼13세 0.9884 ▲ 14∼15세 0.9854 ▲ 16∼17세 0.9738 ▲ 18세 이상 0.9505로, 초경 나이가 늦을수록 골밀도 수치가 낮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연구팀은 초경 시기가 늦으면 폐경에 이르기까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척추의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런 상태로 골밀도가 감소하다 보면 60대 이후 노년기에는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이 좀 더 빨리 올 수 있다는 것이다.
장동균 교수는 "에스트로겐은 초경, 폐경과 같은 생리작용뿐만 아니라 사춘기 이후 성장하는 동안에 적절한 뼈의 질량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면서 "초경이 늦으면 그만큼 에스트로겐의 영향이 덜해져 골다공증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이어 "최근 들어 청소년 시기에 무리한 다이어트, 성장 호르몬 주사 등으로 불규칙한 호르몬 분비가 많이 일어나는 것도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젊고 건강할 때 규칙적인 운동과 함께 칼슘, 비타민을 충분히 먹음으로써 골다공증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부모가 세심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80516/B20180516155941977.jpg)
(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