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두 곳 중 한 곳은 근로시간 단축이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예상했습니다.
노조의 임금보전 요구와 생산성향상과 관련한 노사 의견충돌, 인건비 부담 등이 애로점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노사협력을 통한 생산성향상 대책 추진에 더해 탄력근로 단위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6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지난해 매출 600대 기업 중 7월 1일부터 근로시간을 단축해야하는 업종에 속한 372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 112개사들 가운데 87.5%의 기업들이 7월 1일부터 근로시간 단축 제도시행 전까지 준비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들 기업들 가운데 55.4%에 해당하는 62개 기업이 근로시간 단축이 영업이익 등 전반적인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19.6%인 22개 기업은 긍정적 영향을 예상했습니다.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준비 정도는 ‘법안통과 전 대응체계 구축과 현재 준비 완료’라고 답한 기업이 16.1%에 해당하는 18개사로 집계됐고, ‘법안 통과 전 시범사업 추진 및 7월 1일 전사업장 적용’이 23.2%에 해당하는 26개사로 조사됐습니다.
‘법안 통과 후 대책마련 및 7월 1일까지 완료 예정’이라고 답한 기업은 48.2%인 54개사로 나타났습니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의 경우 ‘노조의 근로시간 단축으로 축소된 임금보전 요구’(35.7%), ‘생산성향상 과정에서 노사간 의견 충돌’(35.7%), ‘종업원 추가 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9.5%), ‘계절적 요인 등 외부 수요변화에 따른 생산조절 능력 저하’(28.6%)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가장 많은 애로를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서는 전체 72.3%에 해당하는 81개 기업이 생산현장인 공장이라고 응답했고, 그 다음으로 연구개발 부서 22.3%, 영업 부서 19.6%, 인사부서 13.4% 등의 순이었습니다.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한 주요 대응계획의 경우 ‘생산성 향상 대책 추진’ (74.1%), ‘신규인력 채용’(27.7%), ‘일부 업무외주화’(12.5%), ‘해외공장 이전 검토’(1.8%) 등 생산성향상을 통한 대응이 주요 계획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생산성향상을 주요 대응계획으로 선택한 기업 83개를 대상으로 대책을 조사한 결과, 사무 연구개발 분야는 ‘유연근로시간제 실시’, ‘집중근로시간제 실시’, ‘칼퇴근 문화정착’, ‘회의시간 축소 등을 대책으로 꼽았습니다.
생산현장은 ‘교대제 개편’, ‘근로시간 유연화’, ‘스마트공장 추진’, ‘인력전환배치’ 순이었습니다.
한경연은 오는 7월 1일부터 시행되는 근로시간 단축에 대비해 사무 연구개발, 생산현장 등 기업 전 분야에서 근로시간 유연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전체 25.9%인 29개 기업이 실시하고 있는 반면 조사대상 중 74.1%인 83개 기업은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티다.
근로시간 단축을 한국 노동시장에 연착륙시키기 위한 제도보완 방안으로는 절반이 넘는 64개 기업이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이어 ‘근로시간저축제도 도입’(33.9%), ‘생산성에 상응하는 임금체계 구축 지도’(32.1%), ‘화이트칼라 이그잼션 제도 도입’(19.6%) 등의 순이었습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근로시간 단축이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노사가 협력하고 양보하면서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매진해야하고, 탄력적근로시간제 단위기간을 선진국 주준으로 연장하는 등의 제도개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