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재계를 비롯한 민간 기업들만이 아닙니다.
공기업도 남북경협을 대비해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는데, 특히 경협 대상 1순위로 꼽히는 자원·에너지 공기업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배성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남북 경제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공기업들도 채비에 나섰습니다.
특히 자원과 에너지 분야를 담당하는 산업부 산하 공기업 대부분은 이미 TF 또는 전담팀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인터뷰> 산업부 산하 공기업 관계자
"이미 (산업부) 산하 기관들에는 그거(남북경협)를 대비해서 내부적으로 캠프나 이런 것들을 해서 뭘 할 수 있는지 검토는 다 하는 정도…"
한국수력원자력은 최근 수력과 신재생에너지를 담당하는 그린에너지본부 산하에 '대북사업 준비팀'을 출범했습니다.
한수원은 대북사업 준비팀이 임시로 운영되고 있지만, 향후 조직개편을 거쳐 전담조직을 상설화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광물자원공사의 계획은 좀 더 구체적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연내 발의할 한국광업공단법의 사업 목적엔 최초로 북한 자원 개발이 포함되었고,
이미 22명 규모의 '남북자원개발 TF'가 조직됐습니다.
<인터뷰> 류리나 한국광물자원공사 과장
"정상회담 이후에 남북 경협사업이 진행이 될 거라고 예상을 해서 저희가 선제적으로 해당 조직을 구성을 했다"
남북자원개발 TF에는 지난 2003년 광물자원공사와 북한 명지총회사가 함께 추진했던 흑연광산사업인 '정촌사업'을 정상화하는 부서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외에도 민간지원팀도 마련돼 향후 민간기업의 북한 진출 지원방안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달 15일에는 석유공사와 가스공사, 광물자원공사 관계자들이 모여 남북경협을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을 점검한 바도 있습니다.
북한의 광산 갯수는 728개, 채굴되는 광물의 종류는 무려 42종에 달합니다.
북·미 정상회담 이후 북한 광물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 조치가 완화될 것으로 관측되는만큼, 북한의 방대한 광물자원을 공동 개발하기 위한 공기업들의 발걸음도 바빠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배성재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