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어제는 남유럽 문제를 점검해 드렸습니다만 신흥국 문제도 심상치 않은데요. 현재 어떤 상황입니까?
-3월 Fed 회의 후 추세적인 달러 강세 국면
-달러인덱스 88->94대, 장중한때 95대 진입
-3차 테이퍼 텐트럼, 신흥국 통화가치 하락
-아르헨티나, IMF 구제금융 백약이 무약
-경제권역별로 중남미 지역이 가장 큰 혼란
왜 중남미 국가들이 특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말씀해 주시지요.
-중남미 혼란, 대내외 요인 겹친 것이 원인
-Fed의 금리인상, 중남미 대규모 자금이탈
-미중 마찰, 중국경기 둔화->원자재 가격 급락
-정책대응 미숙, 금리인상은 미봉책 불과
-정치 혼란, 좌파와 우파 혼재 정체성 상실
중남미 경제는 좌파나, 우파냐 정치적 성향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데요. 올해 5월 이후에는 좌파와 우파가 서로 혼재하고 있지 않습니까?
-15년 11월, 마우리시오 마크리 후보 당선
-16년 8월 호세프 탄핵, 10월 페루도 우파
-17년 칠레 대선, 시장경제주의 ‘피네라’ 당선
-18년 5월, 콜롬비아 등 우파, 베네수엘라 좌파
-7월과 10월, 멕시코와 브라질 좌파 후보 유리
더 우려되는 것은 올해 하반기에도 미국의 금리가 추가적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높지 않습니까?
-6월 점도표, 중립금리 2.75%->3% 상향
-상반기 2번 인상, 하반기에도 2번 인상
-트럼프, ‘제조업’과 ‘달러 리쇼오링’ 추구
-금융위기 이후 국제자금흐름, 캐리 성격
-Fed의 인상->달러 강세->신흥국 이탈
관심이 되는 것은 최근에 겪고 있는 중남미 혼돈이 1990년대 중반처럼 중남미 외채위기로 악화될 것인가 하는 점인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루빈 독트린, ‘달러 약세’에서 ‘강세’로 전환
-달러 강세->외자이탈->브라질 등 외채위기
-제2 루빈 독트린인 ‘커들러 독트린’ 주목
-IMF, 모리스 골드스타인 위기지표로 판단
-베네수엘라, 인니, 터키, 남아공, 필리핀 취약
중남미 금융시장에 혼돈을 겪음에 따라 중남미 펀드를 비롯한 중남미 금융상품의 손실 폭이 커지고 있지 않습니까?
-에프앤가이드, 최근 3개월간 전체 -2.03%
-신흥국 전체, -5.74% 속 아시아 -4.32%
-남유럽 사태로 신흥유럽국, -9.25%로 커져
-중남미 전체, 손실률 -21.67%에 달해 당혹
-브라질 주식형펀드, 채권, 부동산 등 3중고
우리 투자자들이 많은 브라질 투자가 손실이 큰 것이 문제인데요. 현재 브라질 경제는 어떻습니까?
-원유, 커피, 철광석, 석탄 등 4대 품목 좌우
-IMF, 16년-3.5%->작년 1%->올해 2.3%
-브라질 정부, 올해 성장률 3%-> 2.5% 하향
-민간 예측기관, 올해 성장률 1∼1.5% 그칠 것
-19∼20일 브라질 중앙은행 회의, 경기판단 주목
우리 투자자 입장에서는 브라질 국채에 대한 관심이 높은 데요. 브라질 국채 투자자에게는 어떤 영향을 줄 것으로 보십니까?
-원·헤알화 =원·달러 환율÷헤알·달러 환율
-환차손 재발, 브라질보다 한국 요인 더 작용
-작년 하반기부터 브라질 국채 매입 자제 요청
-10월 대선 앞두고 룰라 전 대통령 구속, 우려
-대선결과 보고 브라질 국채 추가 투자 결정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