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세계적인 드론산업 성장세에 비해 국내 기반 아직 미흡
-아소아 등 무인항공기에 특화된 전문 강소기업 육성 필요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산업으로 알려진 드론 산업에 대해 전반적인 관심이 뜨겁다. 반면, 국내의 대부분의 드론 개발사는 현재 중국산 부품 및 기술의 단순 조립이나 응용에 그치고 있어 일각에서는 국내 기술 경쟁력을 증대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부에서도 이를 인지하고 ?드론산업육성법? 제정 등을 추진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고 있어, 드론산업에 특화된 강소기업 육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드론산업은 높은 성장 잠재력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가파른 성장을 하고 산업 분야 중 하나다. 세계적인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미국의 틸(Teal)그룹에 따르면 드론산업은 제작 부분만 해도 2016년 기준 55.7억불에 달하는 큰 시장이며, 2019년에는 122.4억불, 2026년에는 221.2억불로 산업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 드론산업에 쏟는 관심은 지대하다. 일찌감치 드론산업을 혁신성장 8대 사업중 하나로 선정하여 육성을 추진해왔다. 정부자료에 따르면, 국내 드론의 소프트웨어 등 제작분야의 민수시장은 2016년 기준, 약 231억원 정도이며, 활용시장은 473억 정도다. 분야는 대체로 농임업, 영상분야, 건설측량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시장은 어느 정도 성숙도에 이르렀지만, 산업구조와 생태계에서는 미흡하다. 현재 완성기체를 생산하는 곳은 약 40개 업체 정도로 추정되며 대부분의 제작업체가 외산 부품을 조립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특히 모터, 배터리, 센서 등의 범용부품의 상당 수는 중국산에 의지하고 있으며, 항법, 제어, 핵심센서 등의 핵심부품은 운항 관련 데이터가 중국 업체 서버로 전달되는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 미육군의 경우 해당 중국산 제품의 사용 중단 명령을 내리는 등 논란이 많은 상황이다.
정부에서도 이러한 점을 인지하고, ?드론산업육성법? 제정 등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6월 5일에는 산?학?연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국회와 적극 협의하여 법률 제정을 지원하기 위해 항공안전기술원, 한국교통연구원 공동 주관 하에 ‘드론산업발전 심포지엄’을 개최하기도 했다.
전문가들 또한 기초 기술개발 및 전문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현재 국내 드론산업이 군용 및 개인 취미용의 비중이 높은 것이 사실이나 앞으로는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될 전망이기 때문에 텃밭을 일궈두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경쟁력을 갖춘 전문적인 강소기업들도 하나둘씩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 무인이동체의 기술개발 및 부품 제작 등에서 성과를 거둬온 ㈜아소아는 순수 국내 제작의 하이엔드급 기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소아는 수소연료전지 및 자율비행시스템(충돌방지 및 강우센서 등)의 원천기술을 자체 개발하고 기체 생산, 가공까지 전 과정의 국산화를 통해 한국에 최적화된 기체를 선보인다. 특히 아소아가 현재 집중 개발 중인 특수목적용 수소연료전지 드론 ‘AD-1200V`은 시제품이 완성단계에 다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체의 경우 40L의 수소연료를 탑재하여, 17㎏의 대형기체가 최대 60분, 왕복 50㎞를 이동할 수 있는 사양을 갖춘 상용화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아소아의 김현수 대표는 “현재 국내 드론 제작사 들의 상당수가 원천기술 없이 중국 기업의 기술과 생산됨 부품의 조립 및 응용에 의존하고 있어 국내에도 드론 전문기업들을 중심으로 원천기술 의 꾸준한 투자와 수요자의 목적에 맞춘 기체의 개발을 신경을 써야 한다”며 “아소아는 꾸준한 원천기술 개발 및 응용을 통해 시설물 점검, 토지측량, 물자 수송, 농임업용 등 이른바 특수목적에 맞춘 기체 타입 개발로 무인이동체의 순수 국산화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에서도 이러한 강소기업 등의 육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정부 관계 부처에서는 합동으로 2026년까지 ‘드론산업 발전 기본계획안’을 내놓고 드론산업 강소기업 육성을 지원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소프트웨의 및 부품 업체의 전문성 강화와 핵심부품기술의 국산화, 선도기술 확보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나 중국과 달리 현재 후발주자로 뛰어든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의 지원이 드론산업 육성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라며 “공공분야에서의 드론 활용도를 높여 시장 전체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유망 기업 등의 기술 개발을 위해 국책지원금 등의 조기 투입하여 기업 육성을 장려해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