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비트코인값 3분의 1 토막 났다…가상화폐발 금융위기 가능성은?

입력 2018-07-13 13:46  

    작년말 20000달러에 육박했던 비트코인 가격이 오늘부로 3분의 1 토막이 났는데요. 이럼에 따라 가상화폐 앞날이 어떻게 될 것인가가 관심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워낙 지난한해 가상화폐가 최대 화두가 됐던 만큼 이 시점에서 정리해 보는 것도 의미가 크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는데요.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비트코인 가격이 오늘부터 3분의 1 토막이 났는데요. 그 움직임부터 말씀해 주시지요.

    -지난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투기열풍

    -연초 1000달러->12월말 19282달러 급등

    -비트코인 이외 다른 가상화폐 동반 상승

    -12일 비트코인 6100달러대, 3분의 1토막

    -가상화폐 상장과 상품 준비 금융사, 낭패

    한때 5만달러까지 갈 것이라고 예상됐던 비트코인 가격이 단기간에 왜 이렇게 급락하는 것입니까?

    -비트멕스 CEO 헤이서, 올해 말 5만 달러

    -17세기 네덜란드 튤립 투기를 연상케 해

    -'flash crash' 등 돌발 사태 잇달아 발생

    -G20 차원에서 가상화폐 규제 방안 마련

    -한국 주도, 가상화폐 투기 강력대책 주효

    방금 한국이 가상화폐 가격이 폭락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했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왜 그렇습니까?

    -공급곡선 수직, 수요변화 가격만으로 조정

    -수요 증가->수요곡선 우측이동->가격급등

    -수요 감소->수요곡선 좌측이동->가격폭락

    -세계 거래 20%, 비트코인 투기 200만명 시대

    -한국 가상화폐 위축->세계 가상화폐 직격탄

    작년말에 우리 정부가 비트코인에 대해 강도있는 대책을 발표하지 않았습니까? 당시에 대책 내용을 잠시 살펴보고 가지요.

    -투기광풍과 사회병리 등 부작용 위험단계

    -한국 정부, 고심 속 강력규제 쪽으로 가닥

    -‘규제’가 올바른 정책방향이냐 놓고 논쟁

    -4차 산업혁명 기폭제 중시, 선진국 제도화

    -가상화폐 정책변화, 올해 들어 투 트랙 전환

    비트코인 가격이 3분의 1 토막이 난 상항에서 각국의 입장이 어떻게 변했는지도 궁금한데요. 비트코인 가격이 올라갈 때와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까?

    -가격상승 때 일본 등은 공식 법정화 시사

    -크리스틴 라가르드, 비트코인 법정화 고민

    -더들리 전 뉴욕 연은 총재, 비트코인 법정화 검토

    -중국, 한국 등은 투기 간주 ‘규제’로 가닥

    -법정화 검토국, 가격 폭락함에 따라 ‘중립적’

    한 가지 궁금한 것은 지난 2월 베네주엘라 마두라 정부가 가상화폐인 페트로를 발행했지 않습니까? 과연 성공했습니까?

    -베네수엘라, 디폴트 위기에 빠진지 오래돼

    -최후 타개책으로 ‘페트로’ 발행 결정 공표

    -총 물량 1억 페트로, 원화로 6조 4440억원

    -페트로 가격, 1페트로=1배럴 유가=60달러

    -베네수엘라 소비자물가 46000%, 페트로 실패

    가상화폐는 블록체인 등 4차 산업을 육성시키는데 필요한 순기능도 많이 않습니까? 이 문제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까?

    -가상화폐 본질, ‘화폐’ or ‘자산’ 논쟁 지속돼

    -가상화폐 가격에 따라 이 논쟁의 성격 좌우

    -가상화폐 가격폭락, 자산으로 인식하는 시각

    -선진국, 4차 산업육성 차원서 가상화폐 인정

    -신흥국, 투기근절 차원에서 규제 쪽으로 강화

    우문이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비트코인 가격이 3분의 1 토막 됨에 따라 가상화폐발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얼마나 됩니까?

    -10년 주기설과 맞물려 비트코인발 위기 우려

    -마진 콜, 가격 폭락으로 증거금 부족 현상

    -마진 콜->디레버리지 발생, 위기 확률 적어

    -세계GDP대비 1%, 금융시스템 연계성 작아

    -국제공조 규제보다는 ‘좀 더 지켜보자’ 입장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