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관심이 됐던 FOMC 회의가 끝났는데요. 회의 결과부터 다시한번 정리해 주시지요.
-9월 Fed 회의, 여름 휴가철 종료 후 첫 회의
-트럼프 대통령, 금리인상에 대해 노골적 불만
-국채금리 급등 등 통화정책 현안 많아 주목
-회의 결과, 만장일치로 정책금리 0.25%p 인상
-올 들어 세 번째, 15년 금리인상 후 여덟 번째
이번 회의에서는 금리인상이 기정사실화됐던 만큼 다른 현안이 더 관심이 됐지 않았습니까? 먼저 미국경제에 대한 전망도 바뀌지 않았습니까?
-미국경기 건전, 분기마다 성장률 전망 상향
-성장률, 올해 3.1%(기존 2.8%)→내년 2.5%(기존 2.4%)로 상향 조정
-물가상승요인 일시적, PCE 물가 2%
-고용시장 개선추세 지속, 실업률 3.7% 상향
-Fed 양대 책무, 고용창출과 물가안정 달성
이번 회의부터 매파적 성향을 갖고 있는 위원들이 많이 채워진 만큼 점도표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도 관심이 됐지 않았습니까?
-Fed 금리인상 경로, ‘go stop’과 3·3·3전략
-‘3·3·3’ 전략, 3년간 매년 3차례 3%로 인상
-중립금리, 작년 12월 2.75%→6월 2.9%→3%
-점도표, 올해 2.4%→내년 3.1%→20년 3.4%
-올해 6월에 비해 금리인상에 전향적 기조
기자회견에서는 트럼프 정부의 재정정책에 대해서도 언급이 있었지 않았습니까? 어떻게 언급했습니까?
-제롬 파월, 임명 후 친트럼프 인사로 분류
-재정위험성 경고, 트럼프노믹스 간접 비판
-재정정책 부양효과 인정, 건전한 운용 건의
-중립금리, 재정정책으로 더 오를 가능성
-10년물 국채, 9월 회의 이전 3%대 재진입
날로 심해지는 트럼프 정부의 통상정책에 대해서도 기자회견에서 언급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어떻게 평가했습니까?
-트럼프 통상정책, 국익 우선의 보호주의
-보호주의 목적, 무역적자 축소와 고용창출
-Fed 전통, 미국 정부 통상정책 언급 회피
-파월 의장, 미국 경제에 미칠 악영향 우려
-트럼프 인사, 트럼프 정부의 통상정책 비판
가장 관심이 됐던 자산매각을 추진한지도 1년이 됐는데요. Fed의 대차대조표 조정계획에 대해서는 어떤 언급이 있었습니까?
-중국 국채매각 맞대응, Fed 자산매각 주목
-자산매각, 금리인상보다 더 강한 출구전략
-자산매각. 작년 10월부터 매월 100억$ 회수
-양적완화로 Fed 보유자산, 4조 5천억 달러
-의회, 적정규모 2조 5천억-3조 달러로 언급
우려되는 것은 여름 휴가철이 끝나자마자 달러 부채 만기가 집중적으로 돌아오는 때에 Fed의 금리인상은 신흥국에게 부담이 되지 않겠습니까?
-IIF, 신흥국 달러 부채 2조 7000억달러 발표
-올해 안에 돌아오는 2180억 달러를 갚아야
-내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4000억 달러 상환
-Fed 금리인상, 신흥국 달러부채 상환부담 가중
-달러 부채 이외에도 유로 부채도 만만치 않아
이번 회의결과가 우리 경제와 증시에 미치는 영향인데요. 한미 간 금리가 더 벌어짐에 따라 대규모 외자이탈과 제2 외환위기 우려가 높아지지 않겠습니까?
-정책금리, 미국 2-2.25% vs 한국 1.5%
-대규모 외국자금 이탈, 제2 외환위기 논쟁
-정책금리보다 중요한 시장금리, 이미 역전
-제2 외환위기 위기설, 전형적인 ‘인포데믹’
-원·달러 환율, 1000원 붕괴 가능성은 희박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