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지정학적 우려가 줄어든 가운데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변경하지 않고 유지했다.
S&P는 2일(현지시간)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기존과 동일하게 `AA`로 설정해 발표했다고 기획재정부가 3일 전했다.
이는 전체 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영국, 벨기에, 프랑스, 뉴질랜드, 아부다비, 쿠웨이트가 한국과 같은 등급에 속했다.
한국은 일본·중국(A+)보다 두 등급이 높고 미국·홍콩(AA+) 등 보다는 한 등급이 낮았다.
S&P는 한국의 신용등급 전망도 역시 현재와 같은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S&P는 "남북 및 북미 관계 개선에 따라 한반도 내 긴장이 완화하는 추세"라고 진단하고 "잠재적인 북한의 안보위협 가능성은 여전히 등급 상향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만약 북한이 상당한 수준의 경제 자유화를 진전시킬 경우 지정학적 위험도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S&P는 북한이 경제적 자유화를 추진하면 군사적 긴장 국면을 조성하는 것보다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려는 유인이 더 커질 것이라고 봤다.
S&P는 "한국의 성장세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견조하며 특정 산업이나 수출시장에 의존하지 않고 다각화돼 있다"며 양호한 세계 경제, 확장적 재정정책, 임금인상에 따른 소비증가로 인해 단기적으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평균 2.7%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우려를 키우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에 관해서는 "한국경제의 단기 성장을 다소 둔화시킬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전망"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한국의 대외 건전성과 관련해서는 "국내은행 부문이 순대외채권자로 전환했고 은행권의 총외채 평균 만기도 길어지고 단기외채 비중도 감소했다"며 건전한 대외지표가 국가 신용등급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S&P는 한국의 경상수지가 흑자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그 규모는 GDP의 3.5% 수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확장적 재정을 기반으로 한 일자리 창출 정책 등으로 재정 흑자는 감소하겠지만, 세수가 늘어 적자로 전환하지는 않으리라고 봤다.
다만 비금융공기업 부문에 대한 재정지원 가능성은 정부의 재정 건전성에 대한 제약요인이라고 지적했다.
S&P는 한국 신용의 가장 큰 취약점은 북한 정권 붕괴 시 한국 정부가 부담해야 할 상당 수준의 통일 비용과 같은 우발적 채무라고 규정했다.
아울러 향후 2년 내 한반도에서 지정학적 위험이 확대되지 않으리라고 기대하고 있으나 북한 관련 지정학적 긴장 확대가 한국의 경제·재정·대외지표에 영향을 미칠 경우 등급 하향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S&P는 2016년 8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으며 이후 2년 넘게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앞서 무디스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세 번째로 높은 구간인 Aa2로 설정했고 피치는 네 번째로 높은 수준인 AA-로 평가했다.
정부는 S&P가 신용등급을 기존과 마찬가지로 유지한 것에 관해 "앞으로도 국제신용평가사에 대북 정책의 진전사항이나 한국경제 동향에 관한 정보를 제때 제공하는 등 적극적으로 소통해 대외신인도를 잘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디지털뉴스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