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81011/B20181011160442037.jpg)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생산·판매하는 바이오제닉스가 신기술을 화장품 제품에 적용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바이오제닉스는 11일 열린 `2018 대한민국 뷰티박람회`에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술을 소형화한 기능성 화장품 선보였습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성분은 열이나 공기 마찰로 인해 변형되지만 인캡슐레이션 기술은 이 성분들을 나노 입자로 구체화해 손실을 막아주는 것을 말합니다.
손태훈 바이오제닉스 대표는 "최근 화장품 시장은 신소재가 화두인데, 이런 측면에서 바이오제닉스의 기술은 전세계 어느 곳에 내놔도 충분히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81011/B20181011160508683.jpg)
바이오제닉스가 다양한 수익채널을 확보한 점도 회사의 주요 경쟁력으로 부각되는 부분입니다.
이에 따라 손 대표는 최근 중국 정부의 보따리상 단속 등 화장품 업계의 성장성 우려에 대해서도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손 대표는 "전체 매출액 중 중국이 차지하는 부분은 5% 미만에 불과하다"며 "미국과 일본, 유럽 등 다수의 기업들에 자사 기술 및 제품이 수출되고 있는 만큼 성장성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바이오제닉스는 앞으로 새 기술을 추가로 개발해 사업 확장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입니다.
현재 이 회사가 연구·개발 중인 열 노화 방지 기술은 외부의 온도 변화로부터 효율적으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81011/B20181011160620277.jpg)
손 대표는 "피부의 노화는 주로 높아지는 온도에 의한 것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개발이 마무리된 상태"라며 "빠르면 내년초 이 신소재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그는 "바이오제닉스는 앞으로 기술적으로 검증된 화장품 신소재 개발에 앞장설 것이고, 향후 글로벌 화장품 업계의 새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박람회는 11~14일까지 킨텍스 제1전시장 3~5홀에서 열리며 홍콩 사사(SaSa), 프랑스 세포라(Sephora), 미국 아이허브(Iherb), 독일 두글라스(Douglas) 등 40개국·250개사의 유명 해외 바이어들이 참가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