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무주택자 중심으로 청약제도가 개편되면서 청약시장은 내집마련을 꿈꾸는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은데요.
자금 마련을 위한 제도가 따라주지 않아 결국 현금 부자들의 몫으로 돌아간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주비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강북에서 잠실로 출퇴근하는 직장인 김 모 씨.
직장 인근 아파트로 이사가기 위해 위례신도시 청약을 준비 중입니다.
위례에서 3년만에 4개단지가 분양을 하는데, 반가우면서도 걱정이 앞섭니다.
당첨이 돼도 자금마련이 문젭니다.
목돈이 묶여 있어 제2금융권 대출까지 고민 중입니다.
[인터뷰] 김 모 씨
"전세가가 많아봐야 3~4억인데 그 정도 가지고 있으면서 현금 2억을 수중에 갖고 있으면서 바로 쏠 수 있는 사람이 그렇게 많진 않죠. 당첨되면 1주일 내에 계약금 넣어야 되는데…."
연말 분양시장은 청약제도 개편으로 무주택자 당첨기회가 커졌습니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으로 보통 인근 단지보다 저렴하게 공급된 것도 이점입니다.
하지만 무주택자에겐 그림의 떡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시세보다 3~4억원 저렴해 로또 아파트로 주목받은 하남 미사파라곤의 경우 계약금 조달 문제로 계약을 포기한 당첨자들도 나왔습니다.
신혼부부 특별공급 물량이 늘었다고 해도 기준이 문제입니다.
월평균 소득이 600만원 이하인 가구에 우선 공급되는데, 이 경우에도 최소 2~3억 원의 현금 여력을 갖추기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당첨을 포기한 미계약가구가 생길 수 밖에 없고, 결국 주택 구매력이 높은 자산가들의 몫으로 돌아간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인터뷰] 김규정 / NH투자증권 연구위원
"규제들이 (분양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수요자들을 구분짓거나 진입장벽을 만드는 부분이 있는 건 사실이죠."
차입에 의존해 단기 차익 시세를 위한 투기수요를 막자는 취지의 정부 규제책.
동시에 자금력이 부족한 무주택자들도 안정적으로 내집 마련을 할 수 있는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한국경제TV 이주비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