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빅데이터, 인공지능(AI)과 같은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로 표준화된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신약 개발의 속도를 높여 국내 헬스케어 산업의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리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건강수명은 2015년 73세에서 2022년 76세로,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는 2016년 13만명에서 2022년 18만명으로 향상시킨다는 목표입니다.
보건복지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10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9차 심의를 거쳐 이같은 내용의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확정·발표했습니다.
우선 정부는 내년부터 2021년까지 일반인과 암 생존자 등 300명의 건강·의료·유전체 데이터를 통합해 분석하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개인 동의를 전제로 참여자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생산·취합하고 분석한 뒤 데이터 통합전송 관리기술을 표준화해 기술·서비스 개발에 나선다는 것이 구체적인 계획입니다.
또 AI 활용을 통해 신약개발 역량을 높이고자 2021년까지 후보물질 도출, 전임상시험, 스마트 약물 감시 등 신약개발 전체 과정에 활용 가능한 단계별 AI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스마트 임상시험 구축` 사업을 통해 차세대 임상시험관리시스템도 개발, 임상시험 센터별 각기 다른 시스템을 하나로 통일해 임상시험의 효율성과 품질도 높인다는 구상입니다.
아울러 빅데이터, AI, 3D 프린팅 등을 활용한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을 위해 범부처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하고, 이러한 혁신 의료기술을 평가하는 별도의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체외진단 신의료기술평가는 사후평가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기존에 없던 기술, 새로운 서비스 시장 등 헬스케어 산업의 지각이 변동하고 있다"면서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통해 현재의 성장 추이를 가속하고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