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마스크는 방한용이 아닌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은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황사나 미세먼지 등 입자성 유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보건용 마스크에는 입자 차단 성능을 나타내는 `KF`(Korea Filter) 표기가 있다.
KF80은 평균 0.6㎛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걸러낼 수 있으며, KF94와 KF99는 평균 0.4㎛ 크기의 입자를 각각 94%, 99% 이상 각각 걸러낼 수 있다는 인증 표시다.
KF 뒤에 붙은 숫자가 클수록 차단 효과가 크지만 그만큼 숨쉬기가 불편할 수 있으니 당일 미세먼지 수준과 개인의 호흡 능력을 고려해 적당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보건용 마스크를 잘 골랐더라도 제대로 착용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코와 입이 완전히 가려지도록 고정하고 마스크가 얼굴에 밀착하도록 해 틈을 최소화해야 한다. 마스크와 얼굴 사이 틈새로 미세먼지가 유입될 수 있어서다. 휴지 등을 마스크 안에 덧대 사용하는 것도 밀착력을 떨어뜨리므로 금물이다.
착용한 뒤에는 가능하면 형태가 망가지지 않도록 하고, 입으로 숨 쉬는 것도 피하는 게 좋다. 코는 콧속 점막이 미세먼지를 흡착해 배출하도록 돕지만, 입으로 숨 쉬면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힘들다. 또 보건용 마스크는 세탁하면 효과가 떨어지므로 세탁해 재사용하는 것도 삼가야 한다.
외출 후에는 손과 얼굴을 깨끗하게 씻고, 콧속과 입안을 헹구는 게 좋다. 옷과 가방 등에 붙은 미세먼지도 털어내야 한다. 하루에 8~10컵 물을 마셔 체내 염증 반응을 예방하고 노폐물을 몸 밖으로 빼내야 한다. 무엇보다도 미세먼지가 심각할 때에는 외출을 자제하는 게 좋다.
이세원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20일 "미세먼지 주의보 또는 경보가 있을 때는 호흡기나 심장에 질병이 있으신 분은 집 바깥에 나가는 것을 삼가고, 노인이나 어린이는 밖에 머무르는 걸 자제해야 한다"며 "부득이 외출했다면 손과 얼굴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천식이나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환자의 경우 평상시 증상을 고려해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 등 응급약을 상비하고 외출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