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먼저 최근 들어 달러 가치와 원·달러 환율 움직임이 어떤지부터 말씀해주시지요.
-달러인덱스, 주요 통화 대비 ‘달러 가치’ 동향
-올해 들어 ‘95∼97’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新달러인덱스 논의, 중국 위안화 편입 여부
-위안화 절상, 新달러인덱스 산출 ‘달러 약세’
-원·달러 환율, 중심 1100원 상하 50원 범위
Q. 하지만 우리 경제의 위기설이 끊이질 않고 있는데요. 위기설 여부에 있어서는 원·달러 환율 움직임이 중요하지 않습니까?
-외환위기, 두 가지 악순환 고리가 형성돼야
-첫 번째 악순환 고리, 외자이탈과 원·달러 환율
-외자이탈→원·달러 상승-→환차손→외자이탈
-두 번째 악순환 고리, 금융과 실물경기
-외자이탈→주가하락→역자산효과→경기침체
-외국자금 유입, 악순환 고리 형성되지 않아
Q. 문제는 앞으로인데요. 외환위기가 발생했던 1990년대 상황과 비교해서 진단해보죠. 먼저 외환위가 당시 미국 경제와 현재 미국 경제 상황을 비교해주시지요.
-1990년대 미국 경제, 전후 최장의 호황 구가
-1990년대 중반 이후 클린턴 정부 신경제 창출
-트럼프 집권 미국 경제, 전후 최장 성장 기대
Q. 1990년대 5%대 성장률 구가함에 따라 미국 금리와 다른 국가 금리 간의 대발산에 일어났었는데요. 현재는 어떻습니까?
-미국과 타 국가 간 금리, Great Divergence
-Fed, 1994년 후 3.75%→4.25%→6% 빠르게 인상
-같은 기간 중 독일 분데스방크, 5%→4.5% 인하
-Fed, 2015년 12월 이후 추진해 온 금리인상 중단
-1990년대와 같은 대발산 일어날 가능성 ‘희박’
Q. 달러 가치는 미국의 달러 정책이 어떻게 되느냐도 중요한 변수이지 않습니까? 1990년대 당시와 비교해 말씀해주시지요.
-달러 가치, mercury와 mars 요인에 의해 결정
-루빈 독트린, 엔·달러 79엔→148엔로 강달러
-미국 고금리와 강달러, 신흥국 자금이탈 심화
-중남미 외채위기→아시아 통화위기→러시아 부도
-트럼프 정부, 사상 최대 무역적자로 달러 약세
Q. 1990년대 당시 원·달러 환율은 엔·달러 환율에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까? 최근에는 위안화 환율과 상관계수가 높지 않습니까?
-1990년대 원과 엔화 간 상관계수 0.9에 달해
-역플라자 79엔→148엔, 원·달러 환율도 급등
-작년 10월 이후 원화와 위안화 상관계수 ‘0.9’
-트럼프 공화당 정부 난제, 중국과의 무역적자
-위안화 환율조작방지 명문, 제2 플라자 합의
-미중 환율 합의→위안화 절상→원화 절상
Q. 이제부터는 우리 내부 요인을 알아봐야 하겠는데요. 외환위기 발생 당시에 비해 우리 내부 사정은 어떻습니까?
-실물경기와 정책당국 시각은 ‘당시와 비슷’
-강경식팀 ‘펀더멘탈론’ vs 홍남기팀 ‘신중’
-stock, flow면에서 외환사정 ‘상당히 풍부’
-1996년 외환보유 300억 달러 · 경상적자 236억 달러
-외환보유고, 2선 자금까지 포함 5300억 달러
-불황형 흑자, 최근 들어 경상수지흑자 ‘감소세’
Q. 결론을 맺어 보지요. 최근 움직임과 앞으로 예상되는 원?달러 환율 움직임으로 볼 때 우리 경제의 위기 발생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 것입니까?
-경기 회복, 원·달러 환율 올리는 것 ‘바람직’
-美 환율보고서 발표 임박, 이마저도 쉽지 않아
-한국·일본 등도 환율조작 못하도록 ‘사전 경고’
-제2 국가 부도와 외환위기설, 전형적인 ‘인포데믹’
-비관론과 위기론, 미첼 함정과 자기실현적 가설
-일부 세력 ‘폭망’ 근절, 프로보노 퍼블리코 발휘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