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최저임금의 운명이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최저임금 결정의 키를 쥐고 있는 공익위원 전원이 사퇴를 했고 결정 체계를 이원화하겠다는 약속은 사실상 물거품이 됐습니다.
박준식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9일 최저임금위원회 위원장과 공익위원 8명 전원이 사퇴하며 최저임금을 둘러싼 혼란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 이후 예고된 사퇴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입니다.
올해 10.9% 인상을 책임졌던 당사자가 더 이상 자리를 유지하는 것은 부담이 큰 것이 사실입니다.
최저임금 급등에 제동이 필요한 시점에서 급격한 인상의 중심이던 공익위원들이 그 역할을 맡는 것은 무리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앞으로의 실무 절차와 또 다른 파행의 가능성입니다.
고용노동부는 일정을 서두를 계획이지만 장관의 추천과 대통령 임명 등을 감안하면 한달 가량 소요될 전망입니다.
지난해의 경우 5월 17일 4차 전원회의를 열고 위원장과 부위원장의 선출을 마무리한 바 있습니다.
8월5일까지 최종 고시하려면 심의를 제대로 진행하기 어려울 수 있는 상황입니다.
한편에서는 올해도 최저임금 결정 과정에서의 파행이 되풀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이원화 체계의 도입이 사실상 무산돼 기존의 최저임금 결정 과정을 그대로 거쳐야 합니다.
더 이상 인상은 어렵다는 게 경영계 입장이지만 현실적으로 최소한의 인상폭을 제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노동계가 여전히 1만원으로 인상할 것으로 요구하는 상황에서 동결을 고집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결국 공익위원들은 5~10% 사이의 타협안을 제시하고 경영계 대표들은 이에 반발해 회의에 불참하는 악순환이 벌어질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전화인터뷰]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
"정부는 7~8% 고수를 할 것 같고 사용자측은 계속해서 도저히 받아들 수 없다고 하면서 늘 보아왔던 갈등 구조가 재현될 것이다"
이원화 결정 체계로 급격한 인상을 막겠다는 계획이 무산된 상황에서 신임 위원장과 공익위원들은 인상의 속도를 조절해야 하는 무거운 과제를 떠안게 됐습니다.
한국경제TV 박준식입니다.
한국경제TV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