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보사 허가 취소' 청문회가 열리는 가운데, 이번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코오롱티슈진의 상장폐지 실질심사 여부 결정도 곧 나올 예정입니다.
매매 정지로 속앓이를 하고 있는 소액주주 입장에선 좌불안석입니다.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증권부 이민재 기자 나왔습니다.
<앵커>
코오롱티슈진 상장폐지 실질심사 여부 결정 일이 내일(19일)이죠?
<기자>
네, 맞습니다.
지난달 28일 인보사 허가 취소 등으로 코오롱티슈진의 매매 거래가 정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해당 심사는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 상장 관리부에서 심사를 시작했는데,
그 심사 기간이 규정상 D+15일입니다.
영업일 기준이기 때문에 그 마감일은 내일인 19일로, 관련 결과는 오후 6시 전에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그런데 오늘(18일) 식약처 청문회가 있는 등 변수가 많아 한국거래소의 결정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기자>
오늘 식약처 청문회에서 인보사 사태 관련 많은 논의들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식약처가 앞서 내린 인보사 허가 취소 결정에 변화가 있는지가 관심의 대상인데요.
이번 청문회는 비공개인데, 이와 관련한 결과가 나오기 까지는 짧게는 2~3일, 길게는 일주일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또 청문회 이후에 코오롱 측이 식약처에 관련 자료 제출하는 등 추가 논의가 진행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거래소는 "식약처 청문회 등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것"이란 입장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상폐 실질심사 여부 관련 심사가 한 차례 연장될 수 도 있습니다.
규정상 15일이 추가 가능합니다.
업계에서는 한 차례 더 연장된 상황에서 청문화 결과가 나오면 마무리가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앵커>
코오롱티슈진 사태는 장기전이 될 수 밖에 없어 보이는데요.
<기자>
네 맞습니다.
코오롱 측은 이미 장기전에 돌입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식약처 인보사 허가 취소 결정이 나오면 곧바로 행정 소송을 통해 법적 효력 다툼을 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이로 인해 실제 허가 취소 관련 결과가 나오는 건 2년~3년은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지난 15일 이웅렬 전 코오롱 회장에 대한 출국정지 명령이 내려지는 등 검찰 수사도 본격화 되면서 크고 작은 변수들도 산재돼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코오롱티슈진에 대한 한국거래소 절차 역시 최대한 장기전으로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상폐 실질심사 대상이 안되면 제외되지만, 대상이 되면 개선 계획서 접수 과정을 거쳐 기업심사위원회 심의를 받습니다.
이 과정에서 80일 정도, 세 달 이상 소요가 됩니다.
이후에는 상폐로 직결되거나 또는 개선기간이 부여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기업심사위원회와 시장위원회의 논의가 이어집니다.
개선기간은 1년을 초과할 수 없기 때문에 한 번에 최장 1년까지 줄 수 있는데, 특별한 사유가 있으면 1년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한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코오롱티슈진의 경우, 해당 기간이 최장으로 갈 가능성이 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즉, 개선 기간까지 합해 2년 넘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앵커>
소액주주들은 좌불안석입니다.
<기자>
코오롱티슈진의 주가는 지난해 말 4만3,150원과 비교하면 5분의 1배로 떨어졌고
지난 2017년 11월 24일 장중 최고가인 7만5,100원과 비교하면 거의 10분의 1로 줄었습니다.
시가총액은 최대와 비교하면 4조원,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2조원 이상 증발했습니다.
소액주주는 5만9천명 수준인데, 주식 수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36.66%로 452만주를 보유 중입니다.
소액주주 입장에선 최고 주가와 비교하면 3,000억 원, 불과 몇 달 전과 비교하면 1,600억 원이 날아간 셈입니다.
전문가들은 코오롱티슈진이 2017년 11월 6일 증시에 입성해 1년 반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고 성장성에 기대를 걸었던 주주들도 많았다는 점에서 피해가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인보사 사태 역시 급작스럽게 일어났다는 점에서 소액주주의 입장에서는 답답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미 450여명의 소액주주들이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진행 중이고, 다른 소액주주들도 의향을 밝히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에 보험사들의 인보사 의료비 환수 소송 등을 고려하면 수천억 원 대의 법정 분쟁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앵커>
네, 잘 들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