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유엔 산하 국제노동기구(ILO)의 보고서 `글로벌 노동소득 분배`에 따르면 2017년 현재 세계 전체 노동소득 중에서 소득 상위 10%에 해당하는 노동자가 가져가는 몫은 무려 48.8%에 달했다.
반면에 하위 50%의 소득 비중은 고작 6.4%, 하위 20%에게 돌아가는 몫은 겨우 1%에 불과했다.
ILO는 2004년부터 2017년까지 189개국을 추적해왔다며 노동소득 분배의 이 같은 추세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상위 10%가 가져가는 비중이 2004년 55.5%이던 것이 2017년에는 48.9%로 떨어진 변화는 있었다.
그러나 ILO는 이 현상이 각국 내부에서 소득 불평등이 개선된 게 아니라 중국, 인도와 같은 거대한 신흥국들이 번영해 저소득 노동자가 줄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과 인도를 빼고 계산할 때 상위 10%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4년 47.2%, 2017년 46.2%로 별 변동이 없었다.
ILO가 13년간 추적한 노동소득 분배에서 중산층으로 볼 수 있는 계층의 소득 감소는 하나의 특색으로 주목됐다.
상·하위 20%를 뺀 중위권 60%에게 돌아가는 노동소득의 몫은 2004년 44.8%에서 2017년 43%로 줄었다.
같은 기간 상위 20%가 가져가는 몫은 51.3%에서 53.5%로 늘었다.
상위 20%의 몫이 1%포인트 이상 증가한 국가들로는 미국, 영국, 독일, 이탈리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등이 있었다.
ILO는 "상위층의 소득이 증가하면서 중위층과 하위층의 소득이 감소하는 것"이라고 추세를 설명했다.
노동자들 사이의 소득 불평등은 선진국보다 후진국에서 훨씬 심했다.
하위 50%의 몫을 따지면 유럽연합(EU) 회원국은 22.9%였으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3.3%에 그쳤다.
ILO의 이코노미스트인 로저 고미스는 "글로벌 노동인력 가운데 대다수가 경악할 정도로 임금이 낮고 일자리가 충분하지 않은 이들도 많다"고 말했다.
고미스는 "세계 하위 50%의 평균 월급은 198달러"라며 "하위 10%가 상위 10%의 연봉을 모으려면 3세기 동안 한 푼도 안 쓰고 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체 글로벌 소득에서 임금 노동자의 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4년 53.7%에서 2017년 51.4%로 낮아졌다.
이는 미주와 유럽에 있는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자본소득이 증가한 데 따른 현상이다.
자본소득은 생산에 따른 수입 중에서 임금과 수당 같은 노동 대가를 배분하고 나서 기업주나 투자자 등 자본의 주인이 가져가는 몫이다.
ILO는 자본소득의 비증이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일시적으로 주춤했다가 회복해 확대되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자료사진 / (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