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90709/B20190709094458400.jpg)
-6월 발주량 절반 석권…누계 1위 中과 격차 좁혀
-상반기 누계 발주량↓…LNG선·S-Max 발주 지속
-전년 상반기 대비 수주잔량 韓만 유일하게 10%↑
국내 조선사들의 선박 수주량이 6월 발주량의 절반 가량을 석권하며 중국을 제치고 두달 연속 1위를 차지했다.
9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6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 66만CGT, 척수로는 18척 가운데 한국이 절반인 34만CGT, 6척을 수주하며 중국의 24만CGT, 7척을 제치고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1위에 랭크됐다.
누적 수주량에서 한국은 4월 한때 1위 중국과 18%p 차이까지 벌어졌지만 상반기 집계 결과 중국 432만CGT(42%), 한국 317만CGT(31%)로 11%p 까지 격차를 좁히며 2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수주잔량은 2,062만CGT로 작년 같은 기간 보다 약 1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한달간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66만CGT(18척)를 기록했으며, 이 중 한국이 34만CGT(6척)를 수주하면서 24만CGT(7척)을 수주한 중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고. 일본은 9만CGT(5척)를 수주하며 뒤를 이었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의 누계 수주 실적은 중국이 432만CGT(176척) 42%, 한국 317만CGT(69척) 31%, 이탈리아 111만CGT(14척) 11%, 일본 110만CGT(62척) 11% 순이다.
올해 6월 전세계 발주량은 지난달 112만CGT(37척)에 비해 41% 감소했으며, 최근 3년간 1월부터 6월까지의 누계 선박 발주량은 2017년 1,177만CGT, 2018년 1,779만CGT(51%↑), 2019년 1,026만CGT(42%↓)를 기록했다.
올해 누계 발주량을 선종별로 살펴보면, S-Max급 유조선은 작년 보다 3배 가까이 발주가 증가했고 대형 LNG선도 발주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초대형 유조선(VLCC), 컨테이너선( 12,000TEU급 이상), 벌크선 등의 발주량은 큰 폭으로 감소해 선종별 차이를 나타냈다.
2019년 6월말 전세계 수주잔량은 5월말 대비 164만CGT(2%↓) 감소한 7,889만CGT를 나타냈으며, 국가별로는 중국 72만CGT 감소, 일본 37만CGT 감소, 한국 35만CGT 감소 순으로 모두 줄었다.
다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보면 중국과 일본이 각각 243만CGT(8%↓), 483만CGT(26%↓)로 감소한 반면 한국은 193만CGT(10%↑) 증가하며 일감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870만CGT(36%)에 이어, 한국 2,062만CGT(26%), 일본 1,405만CGT(18%) 순으로 집계됐다.
6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지난달과 같은 131 포인트를 기록했다.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LNG선과 컨테이너선(13,000~14,000TEU)은 가격 변동없이 각각 1억 8,550만 달러와 1억 1,15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유조선(VLCC)은 50만 달러 떨어진 9,250만 달러를 기록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90709/B20190709094536643.jpg)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