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90711/B20190711092319890.jpg)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일본 수출규제의 영향을 받는 국내 기업들, 학계 전문가들과 한자리에 모여 대응 방안을 검토했다.
과기정통부는 오늘(11일) 서울 팔래스 호텔에서 관련 산학연 실무현장 전문가가 참여하는 `과학기술 실무현장 정책자문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일본 수출규제 관련 주요 수요 대기업과 동진쎄미켐, 솔브레인, 코오롱인더스트리 등 관련 중소·중견기업 담당자, 대학·출연연의 전문 연구자가 참여해 현장의 애로사항과 우려사항들을 나눴다.
특히, 일본 수출규제 관련 핵심 품목·전략기술들의 국산화 가능성과 시급성이 높은 기술을 파악하고, R&D 지원방안과 대기업 등 수요기업과 개발기업들 간 유기적인 상생·협조 방안을 포함한 산학연 간 협력체계를 마련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이외에도, 원자재를 포함한 소재·장비 분야 원천기술 확보와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중장기적 대응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했다.
김성수 혁신본부장은 "위기를 기회로 만든다는 각오로 정부 지원 R&D와 대기업 등 민간주도 R&D 사이의 R&D 사각지대를 꼼꼼히 점검하여 소재·장비 분야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핵심 품목의 국산화를 앞당기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중장기적 측면에서 선제적으로 미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슈 점검 및 미래예측 능력을 강화하고, 중장기 인력양성 체계 확립과 산학연 간 유기적인 협력 확대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 실무현장 정책자문 포럼`을 매월 2차례 지속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