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에 살면 매달 관리비를 내면서도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알기 쉽지 않죠.
항목 확인은 물론, 인근 단지와 관리비를 비교 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하면 되는지 문성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인천 서구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관리소장으로 근무하는 박덕순씨.
'K-apt(케이아파트)'라고 불리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에 관리비 내역을 입력하는 것이 주요 업무 중 하나입니다.
입주민이 볼 수 있도록 관리비는 물론 입찰정보, 각종 유지보수 비용, 회계감사보고서 등도 빠짐없이 올려야합니다.
이 아파트는 보수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입주민들은 보수 공사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도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평형과 세대수 등이 비슷한 인근 단지와 관리비 비교도 가능합니다.
[인터뷰] 박덕순 / 'H' 아파트 관리소장
"(관리비가) 전달보다 많거나 하면 어느 부분에서 많아지는지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에) 들어가보면 알 수 있으니까요. 타 단지랑 비교해보고 내가 내는 관리비가 투명하게 쓰이는지 알 수 있고요."
정부는 관리비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비교하면 불필요한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을 운영하는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에서 지출하는 연간 관리비는 총 17조 원으로 추정됩니다.
1%만 낮춰도 연간 1,700억 원 가량 줄일 수 있다는 게 한국감정원의 분석입니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내년 5월부터 100가구 이상 모든 공동주택은 관리비 명세를 의무적으로 공개하도록 대상을 확대합니다.
현재는 300가구 이상 공동주택, 150가구이면서 승강기가 설치됐거나 또는 중앙난방 방식의 공동주택,
그리고 150가구 이상 주상복합 건물만 관리비를 공개합니다.
여기에 정부는 아파트처럼 여러 사람이 생활하며 관리비를 내는 상가나 오피스텔도 관리비를 공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태훈 / 한국감정원 K-apt 관리단장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상가·오피스텔도 공동주택처럼 관리비 공개에 따른 관리비 절감효과를 볼 수 있는 제도가 도입됐으면 좋겠습니다."
이에 주무부처인 법무부는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으며, 국회에서도 관련 법안이 발의된 상황입니다.
한국경제TV 문성필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