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은 오늘(25일) 시청에서 황창규 KT 회장,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 채희봉 한국가스공사 사장, 곽수동 한국수자원공사 부사장, 이경실 한국지역난방공사 부사장과 지하시설물 관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의 지하시설물은 시가 콘트롤타워가 돼 통합 관리하고, 관리 상설협의체를 구성하며 조사 비용은 각 기관이 분담하게 된다.
시에 따르면 서울 지하에는 상·하수도관, 전력선, 통신선, 가스관, 지하철 등 총연장 5만2천697㎞의 지하시설물이 묻혀있다. 이는 지구 둘레의 1.3배에 달하는 길이다.
그 가운데 47%인 2만4천958㎞는 서울시, 53%인 2만7천739㎞는 가스, 전기, 통신, 난방 등 각 주체가 관리한다.
시 관계자는 "지하시설물의 관리 주체가 제각각이고, 각 주체가 필요할 때마다 땅을 파고 매설하고 안전관리도 각자 하는 등 문제가 많았다"고 협약 체결 배경을 밝혔다.
지난해 아현동 KT 통신구 화재를 비롯해 목동 열 수송관 파열, 문래동 수돗물 혼탁수 등이 결정적이었다.
지하시설물의 노후, 과밀화로 인한 문제가 빈발하는 데다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등 대규모 지하개발이 예정돼 앞으로 있을 수 있는 사고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협약의 취지라고 시는 설명했다.
앞으로 공동(空同·지하의 빈 곳)조사는 서울시가 전담해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협약 참여 기관은 합동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 복합재난에 대한 대응 역량을 강화한다.
아울러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통합정보 분석시스템`을 구축해 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로 했다.
폭 3m가량의 `소형 공동구`를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기존 공동구는 폭 10m 정도로 서울 기존 도심 지하에 설치하기가 쉽지 않았다.
시는 이런 내용을 토대로 `서울시 공동구 기본계획`을 2020년까지 수립하고 `지하개발 안전 가이드라인`도 마련할 방침이다.
지하시설물 관리에는 첨단기술을 적용한다.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축해 관리 사각지대를 없앤다.
우선 은평 공동구에 24시간 순찰이 가능한 `지능형 궤도주행 로봇`을 올 연말까지 설치, 시범적으로 운영해보고 성과를 측정하기로 했다.
시는 이와 같은 통합적·선제적 안전관리를 위해 `서울시 지하시설물 통합안전관리대책`을 수립하고 2023년까지 2조7천87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노후 하수관로 정비 1조9천301억원, 노후 상수도관 정비 1천789억원, 노후 열 수송관 정비 1천592억원, 노후 전기·통신·가스관 정비 2천17억원 등이다.
박 시장은 "지하시설물은 한번 사고가 발생하면 복합재난의 원인이 되므로 철저한 예방 활동과 신속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서울시가 컨트롤타워가 돼 통합 관리하고 각 기관과 협력해 서울의 지하 안전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80705/B20180705135232420.jpg)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