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혁신도시 정책으로 공공기관 대부분이 지방이전을 완료했지만 서울행을 택하는 청년들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어찌된 일일까요. 이근형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경상도의 한 혁신도시에서 공기업을 다니는 청년 A씨는 최근 서울로 이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상권과 주거환경이 열악한데다 경직적인 업무문화가 발목을 잡으면서 20~30대 퇴사자가 줄을 잇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인터뷰] A씨 (지방 공기업 근무)
“(기업문화가)수직적이고 보수적이고 다양성에 대한 그런 게 떨어지고… (서울에서) 너무 멀고 그걸 계속 평생 해야된다라고 생각하면… 순환보직 하는 데들은 평생 이동생활을 해야 되고 하다보니까…”
충청도의 공기업 직원 B씨 역시 비슷한 문제로 입사동기 절반 이상이 이미 회사를 나갔다고 밝혔습니다.
올들어 8월까지 지방(비수도권)에서 서울로 순이동한 인구가 3만명을 돌파했습니다.
12년만에 가장 많은 수준으로, 정부 혁신도시 정책이 시작된 지난 2007년부터 이주자가 줄다가 공공기관 이전이 완료된 2015년부터는 다시 증가세가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학업과 구직을 원하는 20대의 이동이 두드러집니다.
여기에 지역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투자수요가 가세하면서 서울 인구유입을 늘리고 있습니다.
올들어 8월까지 서울 강남구 아파트 거래자 4명중 1명(22.3%)은 지방 사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감정원)
고무적인 사실은 신도시 개발에 따라 서울 사람들의 경기도 이주 역시 해마다 계속된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이준용 한국감정원 부장
"서울에서 하남이든 성남이든 경기 인접지역으로 이동하고, 하남이나 그쪽에 있는 사람들은 용인으로 이주를 하고, 용인에 있는 사람들은 수원이든 동탄으로 이주를 한다는 겁니다"
특히 최근 2년새 경기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이 늘어난 동탄2신도시를 보면,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 따른 수요가 가장 컸습니다.
[인터뷰] 화성시 관계자
“저희는 삼성반도체라든지 이런 쪽을 배경으로 해서 입주가 되고 있지 않나 그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최근 서울 거주수요 분산을 목표로 3기 신도시 정책을 추진하면서 자족기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내놨습니다. 정책이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열린 기업문화를 갖춘 경쟁력있는 기업을 지역으로 유치하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공공기관들의 기업문화 혁신도 요구됩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입니다. "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