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91012/B20191012113821550.jpg)
SK텔레콤이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질적인 서울 지하철의 출·퇴근시간 혼잡 문제 해결에 나선다.
SK텔레콤은 서울교통공사와 `대중교통 안전 및 혼잡도 해결을 위한 연구 협력`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은 1~9호선으로, 총 290개 역에서 하루 평균 약 700만 명이 이용한다.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혼잡으로 인한 운행 지연 등을 해결하기 위해 교통 카드 데이터, 무게 감지 IoT 센서, 열차 운행 정보를 활용했다.
마만 객차 내 정확한 인원 산출 및 객화 외 플랫폼, 지하 환승 통로 등의 혼잡도 분석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양사가 가진 데이터 등을 활용해 시간대 및 장소별, 객차별 혼잡도 산출 연구에 나선다.
양사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SK텔레콤의 `T map 대중교통`, 서울교통공사의 `또타지하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한다.
고객에게 혼잡을 피하기 위한 최적 경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지하철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지역 인근 고객에게 즉시 알림 문자를 보내는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다.
또 5G 등 무선 통신을 활용해 지하철 이용시 플랫폼 출입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도 모색한다.
강종렬 SK텔레콤 ICT 인프라센터장은 "SK텔레콤의 통신 인프라와 ICT 기술을 활용한 사회적 문제 해결의 사례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SK텔레콤이 보유한 ICT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으로 고객 편의를 개선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