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오늘 미국 시장이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였는데요. 그 내용부터 정리해주시지요.
-美 3대 지수 하락, 미중 1단계 합의 불안
-중동과 중남미 사태 등 지정학적 위험 가세
-中 경기둔화, 원유 등 다른 원자재 가격 하락
-유일하게 금·은·등 귀금속 가격 상승세 유지
-국제 금값, 1년 전 1200달러→1510달러대
-은값, 1년 전 14달러대→18달러대, 30% 상승
Q. 어제 Fed 회의결과에 대해 ‘매파적’이냐 ‘비둘기파’적이냐를 놓고 의견이 분분했었는데요. -오늘 국제금리와 달러 가치는 하루 하락폭으로는 크지 않았습니까?
-Fed 회의결과, ‘매파’ 혹은 ‘비둘기’ 기조 논쟁
-뉴욕 금융시장, 어제 이어 오늘도 비둘기 기조
-data dependent→경기 불안→양적완화 재추진
-10년물 국채금리, 어제 1.77%→오늘 1.69%
-달러인덱스, 어제 97.6→오늘 97.3 하락
-달러 가치와 금값 간 반비례 관계, 종전보다 약화
Q. 앞으로 달러 가치든 국제 금값이든 방향을 결정하는데, 어제 Fed의 문구 수정에 대한 의미가 중요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다시 한번 말씀해주시지요.
-Fed, data dependent와 optimal control rule
올해 성장률 하락, 7월 이후 금리인하 조정
-경기 ‘완만 회복’ 판단 속 3차례 빠르게 조정
-중간 순환적 조정 종결, 정상 준칙으로 복귀
-data dependent→성장률 둔화→추가 인하
-‘매파적 성향’보다 ‘비둘기파적 성향’으로 평가
Q. 궁금한 것은 세계 최대 금 수요처인 중국이 지난 8월부터 금 매입을 최대한 자제하는 가운데 속에 국제 금값이 오르는 것인 이례적인 현상이지 않습니까?
-中, 올 8월 이전까지 금을 집중적으로 매입
-美 입장, 금 매입 통한 탈달러화 움직임 ‘예민’
-中 입장, 무역과 관계없이 외화보유 다변화
-8월 환율 조작국 지정 후 ‘금 사지 말라’ 지시
-금 매입 자제→달러 유출 방지→위안화 절상
-어제 원?달러 환율, 장중한때 1150원대로 하락
Q. 실제로 금 매입을 얼마나 줄이고 있길래 국제 금 시장에서는 종전에 볼 수 없었던 이례적인 일이라고 평가하는 것입니까?
-中, 경상수지흑자 바탕, 금 시장 ‘최대 실세’
-국제 금 공급 물량 중 ‘3분의 1’ 가져가
-작년 1500톤, 上 890톤 +下 610톤 ‘집중 매입’
-올 들어 매입 물량 감소, 특히 하반기 줄여
-8월 이후 금 매입분, 3분의 1수준으로 급감
-국제 금값, 8월 1570달러→9월말 1470달러
Q. 일부에서는 국제 금값이 오르는 것에 대해 궁지에 몰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마지막 카드로 금본위제를 추진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금본위제가 무엇입니까?
-2차 대전 이후 달러 중심 ‘브레튼우즈 체제’
-72년 금태환 정지 이후 스미스소니언 체제
-76년 킹스턴 선언 이후 브레튼우즈 흔들려
-중심통화로 달러 기능 축소, 대체수단 논의
-달러라이제이션·글로벌 유로·테라·금본위제
-금본위제, 중심통화로 달러 대신 ‘금’ 부활
Q. 트럼프 대통령이 1년 앞으로 다가온 대선에서 연임을 위해 금본위제를 부활한다고 하는데요. 가능한 일입니까?
-2011년 미국 정부 셧 다운 후 금본위제 논의
-졸릭 WB총재와 롬니 공화당 후보 ‘주장’
-국내 은행, 3000달러 간다고 금 매입 권유
-한은 김중수 前 총재, 외화다변화 금 96톤 매입
-국제 금값 1000달러 붕괴 우려, 커다란 손실
-금본위제 부활, 금값 불안정으로 어려워
Q. 요즘 금 투자에 부쩍 열을 올리면서 ‘유포리아 골드 리콜’이라는 용어가 많이 거론된다고 하는데요. 어떤 의미인지 말씀해 주시지요.
-투자자, stigma effect와 euphoria gold recall
-stigma effect, 과거 악몽 되풀이에 매도 요인
-euphoria gold recall, 좋은 추억으로 매수 요인
-2011년 셧 다운 발생, S&P 미국 신용등급 강등
-euphoria gold recall로 DLS 등 금투자, 낭패
-올해 8월 금 관련 방송, 금 투자 차익 실현 권유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