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91107/B20191107103637167.jpg)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본격화된 가운데 서울 아파트 값이 거침없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분양가상한제와 부동산거래 합동조사 등 정부 규제 기조로 매수심리는 다소 위축됐다. 다만 저금리에 따른 유동성과 신축 대단지 선호현상, 상대적 저평가 단지 `갭매우기` 영향 등으로 상승세는 지속되고 있다.
7일 한국감정원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에 따르면 11월 첫째주(11월 4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09% 상승했다. 상승폭은 전주(0.09%)와 동일했다. 지난 7월 이후 19주 연속 오름세다.
강남4구의 경우 지난주보다 상승폭을 키웠다(0.12% → 0.13%). 신축은 매물부족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축 아파트와 외곽지역의 갭매우기로 상승폭이 커졌다. 송파구(0.15%), 서초구(0.13%), 강남구(0.12%), 강동구(0.10%)에서 0.10% 이상 높은 상승폭이 이어졌다. 강남권에서는 동작구(0.13%)도 높은 상승폭을 보였는데 강남4구의 상승세가 인근으로 퍼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강북권에서는 서대문구(0.11%)가 가재울뉴타운, 북아현동 직주근접 수요, 홍제동 주거환경 개선 기대감으로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91107/B20191107103800363.jpg)
전국적으로는 매매가격이 0.04% 상승하며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의 경우 인천은 상승폭이 축소(0.07%→0.03%)됐지만 경기권은 상승폭이 소폭 확대(0.08%→0.09%)됐다. 이번 분양가 상한제에서 제외된 과천시(0.51%)와 성남시 수정구(0.48%), 구리시(0.46%)는 기록적인 상승폭을 보였다. 하남시(0.46%)도 지하철 5호선 연장 기대감 있는 지역 위주로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지방에서는 대전(0.34%)이 높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구(0.48%)는 정비사업이 진행되는 지역(탄방1구역) 인근과 둔산동 학군 위주로 높은 상승세를 보였고, 중구(0.35%)는 입지양호한 태평동 위주로, 유성구(0.32%)는 노은역 인근과 어은동 등에서 상승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