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191226/B20191226123453267.jpg)
현대로템은 오늘(26일), 방위사업청으로부터 총 2,433억 원 규모의 장애물개척전차 초도 양산사업과 K1전차 성능개량 3차 양산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수주금액은 장애물개척전차가 1,746억 원, K1E1 전차 성능개량 사업은 687억 원 규모다.
회사에 따르면 장애물개척전차 초도양산 물량과 K1E1 전차 성능개량 물량은 각각 2020년과 2022년까지 납품될 예정이며, 모두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생산된다.
장애물개척전차 초도 양산사업은 지난 2014년 현대로템이 장애물개척전차 체계개발 업체로 선정된 이후 5년 만에 수주한 사업으로 기계화 부대의 신속한 작전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장애물개척전차를 생산하는 사업이다.
장애물개척전차는 우리 군에 처음으로 도입되는 장비로 전방에서 지뢰 및 각종 장애물을 제거하고 기동로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차체 전면의 지뢰제거쟁기를 이용해 땅을 갈아 엎어 묻혀 있던 지뢰를 드러나게 하는 방식으로 대인 및 대전차 지뢰를 제거하며 자기감응지뢰 무능화장비로 자기장을 발사해 자기감응지뢰도 제거할 수 있다.
또, 차체 상부에 부착된 굴삭팔에 굴삭용 버킷이나 파쇄기를 장착해 참호와 방벽 등 다양한 장애물을 재거할 수 있다.
굴삭팔은 크레인으로 사용할 수도 있어 무거운 장비를 인양하고 운반하는 용도로도 활용 가능하다.
이와 함께 현대로템은 이번에 수주한 K1E1 성능개량 3차 양산사업은 미래 전장환경에 맞춰 기존 노후한 K1 전차의 성능을 개량해 전차의 전투효율성을 높이고 전차의 생존성을 강화시키는 사업이라고 밝혔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K1E1 전차가 K1 전차에 조종수 열상 잠망경과 디지털 전장관리체계, 냉방장치, 보조전원 공급장치 등을 새로 장착했다"면서, "전후방 감시카메라 기능을 추가하고 전투차량간 실시간 정보공유를 통해 효율적으로 전투에 임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고 설명했다.
K1E1 전차는 최대 시속 60km로 4명의 승무원이 탑승 할 수 있다.
한국경제TV 증권부 송민화 기자
mhson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