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와 오늘 코로나19 확진자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지역감염이 현실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정부는 이번 사태로 타격을 입은 항공·해운업, 관광업 등에 대한 지원을 서두르기로 했습니다.
김보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로 타격을 받고 있는 항공업에 대해 긴급 지원방안을 내놨습니다.
<인터뷰>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일시적으로 유동성 부족을 겪는 저비용항공사(LCC)에 대해 최대 3천억 원 범위 내에서 정책금융기관을 통한 긴급융자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2003년 사스, 2015년 메르스 때보다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만큼 서둘러 대응에 나선 겁니다.
실제로 국민들의 여행심리 위축으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8개 국적항공사의 주당 운항횟수는 한 달 새 70% 가량 줄었습니다.
정부는 이번 사태로 운항을 중단하거나 노선을 감축하는 경우 공항시설 사용료 납부기한을 최대 3개월간 유예하고, 항공기 운용리스에 대한 공적보증 프로그램을 도입한다는 계획입니다.
방한 관광객 감소로 피해가 예상되는 관광업, 외식업체에 대해서도 600억 원 규모의 금융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담보능력이 없는 중소 관광업체에게는 500억원 규모의 무담보 특별융자를 도입해 1% 저금리로 지원하고, 피해 숙박업체에게는 재산세를 감면해주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또 외식 분위기 확산을 위해 푸드페스타 행사를 조기 개최하는 것은 물론 주요 관광지들의 현대화도 추진할 예정입니다.
해운업계의 애로사항 해결도 약속했습니다.
<인터뷰>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600억 원 규모로 해운업계 전용 긴급경영자금을 신설하고, 여객운송 중단기간 중에는 항만시설 사용료와 여객터미널 임대료를 최대 100% 감면하는 한편…”
한국선주협회가 정부에 건의했던 선박검사 유효기간 연장도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동안 국내 선사의 90% 이상은 중국에서 선박검사를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중국 조선소의 조업이 중단되면서 국내 선박검사 일정이 지연됐고, 이로 인해 운항자체가 불가능한 선박들이 속출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큰 상황이었습니다.
한국경제TV 김보미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