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속 뚫리는 코스피, 코스닥 지지선에 정부가 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증권시장안정펀드와 채권시장안정펀드 등 대안을 내놓고 있는데요.
그런데 출자 주체, 손실 처리 등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면서 시작부터 잡음이 예상됩니다.
이민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오는 24일로 예정된 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증권시장안정펀드, 채권시장안정펀드의 구성 방식과 규모 등이 발표됩니다.
10조원 규모의 채권안정펀드와 6조7천억원 규모의 채권담보부증권과 더불어, 10조원 규모의 증안펀드 등 총 27조원 자금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아직 증안펀드 출자 주체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해 잡음이 예상됩니다.
금융지주는 채권안정펀드와 증안펀드 둘 다 참여를 해야 하고 증권사는 증시 불안으로 위기를 겪고 있다는 점에서 난색을 표하고 있습니다.
특히 증권사의 경우 '라임과 DLS 사태'와 더불어, 최근에는 ELS(주가연계증권) 손실 우려로 불안감이 확대된 상황입니다.
삼성증권과 미래에셋대우 등 몇몇 증권사들은 마진콜로 달러 증거금을 마련하느라 CP(기업어음)를 급하게 매각했고, 이와 관련해 기획재정부 등과 긴급 회의를 하기도 했습니다.
자칫 손실이 발생하면 배임이 될 수 도 있단 점도 꺼리는 이유입니다.
과거 투신사들이 증안펀드 참여 후 대규모 투자 손실로 자본 잠식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또 증안펀드가 가뭄에 단비는 될 수 있지만 부양 효과는 제한적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외국인 투자자가 최근 폭락장에서 하루 1조원 이상 팔았단 점에서 10거래일 가량 버틸 수 있는데, 증시 폭락에 따른 반대매매 등과 겹치게 되면 매도 물량을 잠재우기 쉽지 않단 겁니다.
금융당국은 증안펀드를 개별 종목이 아닌 국내 대표 지수 상품에 급락 시기에 맞춰 40%, 30%, 30%로 나눠 세 차례에 거쳐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만일 이번 유동성 공급으로도 안정을 찾지 못하면 시장에 직접적인 개입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가격제한폭을 줄이거나, 주식 거래 시간을 단축시키는 게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공매도 6개월 금지 등 백약이 무효한 상황에서 해당 대안 역시 회의적인 시각이 큽니다.
폭락장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코로나19 사태'의 진정이란 점에서 금융당국의 고민이 깊습니다.
한국경제TV 이민재 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