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신한금융투자는 금융상품의 선정과 판매 사후관리에 이르는 모든 절차를 소비자보호 강화에 초점을 두고 전면 개편했다.
이 가운데 주목받는 부분이 바로 핵심성과지표인 KPI. 신한금융투자는 KPI 내 고객수익률, 고객만족도 등 `고객중심 항목` 비중을 기존 5%에서 18%까지 확대하고, 금융상품 수익을 평가항목에서 삭제했다.
KPI는 직원에 대한 성과측정지표로 증권사 등 금융권에 두루 사용되고 있다. 직원의 업무실적을 수치화해 공정한 평가가 가능하고 업무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도입했지만, 과도한 실적압박으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높았다.
이 가운데 라임 사태의 중심에 선 신한금융투자가 KPI에서 금융상품 수익을 아예 없애 고객 입장에서 재무컨설팅에 집중하는 여건을 마련한 것이다.
소비자보호 강화를 목적으로 성과평가방식을 손질한 증권사는 비단 신한금융투자만이 아니다. 삼성증권과 미래에셋대우, KB증권 역시 올해 들어 소비자보호 강화 조치에 나섰다.
이 가운데 삼성증권의 경우 올해 1분기 KPI 변경 작업을 거쳐 지난 4월1일부터 KPI 내 소비자보호 관련 배점을 반영했다. 여기에 단계적으로 소비자보호 관련 배정을 확대해 하반기엔 50% 이상 늘린다는 계획이다.
미래에셋대우는 고객수익률 평가를 중점으로 KPI를 운영하고 있는데, 올해 1월부터는 고객활동평가를 KPI 내에 신설했다. 고객수익률 확대와 함께 고객 관리에 집중하겠다는 복안이다.
KB증권 역시 올해 1월부터 고객수익률, 고객사후관리 실행율, 추천펀드 수익률 등 고객중심 관리지표를 한층 강화해 시행하고 있다. 여기에 미스터리쇼핑과 해피콜 등 고객보호 활동평가 결과를 KPI에 반영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의 경우 고객을 우선하는 KPI 실시와 함께 금융상품 출시 전부터 강력한 소비자보호 체계를 마련하고 나섰다. 올해 2월부터 상품선정위원회 구성을 그룹장과 본부장급으로 격상했고, 금융소비자보호총괄책임자(CCO)를 위원으로 위촉했다. 또 검토 상품을 확대하고, 검증 기준을 정교화하는 등 내부 가이드라인을 한층 강화했다.
지난해 NH투자증권이 KPI를 전면 폐지에 나선데 이어 대형 증권사 중심으로 KPI 손질에 나서면서 금융투자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라임과 DLF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금융투자상품 불완전판매 이슈는 대형 증권사 뿐 아니라 중소형 증권사에게도 민감한 사안인 만큼, 소비자보호 강화를 중심으로 한 KPI 변경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는 이유에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형 증권사들도 불완전판매 관련된 리스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대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KPI가 바뀌게 되면 업계 전체 트렌드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다만 일각에선 금융투자업계 전반으로 확산될지 미지수란 진단도 나오고 있다. 대형 증권사와 달리 중소형 증권사의 금융투자상품판매 수익이 여전히 전체 수익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단기 실적 부진이 증권사 대표와 임원들의 임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만큼, 대형증권사처럼 과감하게 고객보호 중심의 KPI 변경엔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한 중소형 증권사 관계자는 "중소형사의 경우 투자은행(IB)보단 자산관리(WM) 수익 비중이 더 큰 게 사실"이라며 "위탁매매나 금융투자상품 판매를 늘리지 못하면 마땅한 수익원이 없다"고 토로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