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 : 1946~1964년생
-X세대 : 1965~1980년생
-밀레니얼 세대: 1981~1996년생
-Z세대: 1997년생~
한국의 상황과 달리 미국은 24~39세인 밀레니얼 세대의 인구가 그들의 부모 세대인 베이붐 세대 보다 많다. 2000년 새로운 `밀레니엄`을 기점으로 대학에 입학했던 이들 밀레니얼 세대는 대한진학률이 이전 세대에 비해 매우 높고, 자기표현 욕구가 강하며, SNS에 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을 열광하게 만드는 기업이 있다. 바로 온라인 증권사인 `로빈후드(Robinhood)`.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00612/B20200612160745537.jpg)
스탠포드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한 두 친구 블라디미르 테네프(Vladimir Tenev)와 바이주 바트(Baiju Bhatt)가 2013년 창립한 회사로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만 하면 곧바로 거래가 가능한 간편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두 창업자는 2011년 `월가를 점령하라(Occupy Wall street)`시위에 참가하면서 뉴욕 월스트리트에서 금융회사를 위해 알로리즘 프로그램을 만들던 일을 그만두고 로비후드를 창업했다.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을 제공했던 월가의 금융회사들이 법적,도의적 책임은 회피한 채 국민의 혈세를 지원 받은 반면 적지 않은 미국인들의 경제적,사회적 지위가 추락하면서 잠재됐던 불만이 폭발했다.
월가의 증권사들은 개인투자자들에게 적지 않은 수수료를 부과한다. 대규모 거래를 하는 기관과 달리 개인투자자에게는 계좌개설, 유지, 최소증거금 등 각종 명목을 붙여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에서 매매에 나설 수 밖에 없다는 점에 두 창업자는 주목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00612/B20200612160859840.jpg)
그래서 `로빈후드`는 주식과 ETF, 옵션과 금, 가상화폐를 매매할 때 수수료가 없다. 심지어 소액이라도 계좌를 만들어 투자에 나설 수 있다. 반면 오프라인 지점도 없고, 리서치, 마케팅, 자기매매 인력도 존재하지 않는다.
초보자도 직관적으로 쉽게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복잡한 차트도 없앴다. 사용자 대부분의 공통점은 `쉽다`는 반응을 보인다.
밀레니얼 세대인 두 창업자의 아이디어는 `대박`이 났다. 미국과 영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지만 앱 사용자는 이미 1천만 명이 넘는다. 로빈후드의 등장에 기존 온라인 증권사도 수수료를 낮추면서 대응에 나섰지만 열풍을 막지 못했다. 로빈후드는 시간외 거래에 이어 투자상품군을 확대하고 프리미엄 서비스까지 제공하면서 월가를 조금씩 흔들고 있다.
`투기와 도박을 유도한다`는 비난에도 불구하고 필요없는 군더더기를 없애고 서비스의 본질에 집중한 로빈후드가 미국판 동학개미운동의 1등 공신이라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게 됐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00612/B20200612160958777.jpg)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00612/B20200612161029430.jpg)
(사진:로빈후드 홈페이지)
기울어진 운동장을 거부하는 `모두를 위한 투자(Invsting for Everyone)`, `모두를 위한 금융의 민주화(Democratize Finance for all)`는 거리에서 외치던 "월가를 점령하라"는 구호를 현실로 만들고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