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데 이어 개성공단과 금강산 철거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자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은 참담한 심경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개성공단 재가동에 대한 남은 기대감마저 크게 꺾인 가운데, 개성에 남겨두고 온 자산에 대한 회수도 불투명해 `망연자실`한 분위기다.
17일 개성공단기업협회에 따르면 개성공단 입주 기업 120여곳이 2016년 2월 개성에서 철수할 당시 남겨두고 왔다고 정부에 신고한 자산만 9천억원 수준이다.
이는 기계설비를 비롯한 고정자산과 완제품 등 유동자산만 고려한 금액으로, 그 외 투자 손실까지 합하면 1조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은 120여곳에 달한다. 이들은 2016년 2월 북한의 핵실험으로 정부가 개성공단의 전면 가동 중단을 결정함에 따라 기계설비와 제품 등을 남겨둔 채 부랴부랴 남쪽으로 넘어왔다.
북한은 기습적으로 개성공단을 군사통제구역으로 선포하며 남측 인원을 전원 추방하고 자산을 동결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후 입주 기업들은 보험금 등으로 투자 손실의 일부를 보전받았지만 부족하다고 보고 정부를 상대로 헌법소원과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진척이 없는 상태다.
여기에 120개 입주기업으로 구성된 개성공단기업협회는 기업들을 대신해 개성공단 가동 중단 조치가 위헌이라며 2016년 5월 헌법소원도 제기했지만 4년이 넘도록 공개 변론조차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은 부채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정부가 개성공단 사업이 완전히 종료됐다고 선언하기 전까지는 폐업 절차도 밟기 어려운 실정이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전날 기자들과 만난 김서진 개성공단기업협회 상무는 "어쩌다 이 지경이 됐는지 모르겠다"며 "(정부가) 불러서 한번 설명해주면 좋은데, 지난 3월 통일부와 비공식 접촉 이후로 한번도 만난적이 없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개성공단이 중단되면서 지난 4년간 입주기업들은 경영난에 시달려왔다. 중기중앙회가 지난해 4월 입주기업 108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도 77%는 공단 중단 이후 경영이 악화됐다고 답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오늘(17일) 긴급 회의를 연 후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을 요구하는 공식 입장을 발표할 계획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