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부동산 대책으로 대출이 묶이게 되면 은행 역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실수요자에 대한 규제는 빠져있어 영향은 크지 않다는 평가도 나오지만, 투기과열지구 지정 확대나 임대사업자에 대한 대출 규제로 은행의 수익 악화는 불가피해 보입니다.
장슬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정부가 3억 원 초과 주택의 전세대출과 임대 사업자의 주택담보대출을 전면 금지하면서, 은행의 수익성 악화도 불가피해졌습니다.
국내은행의 5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920조 원 수준으로 그 중 전세자금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이 약 70%(680조 원)를 차지합니다.
이번 규제로 당장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확장에 제동이 걸리면서 신용대출이나 기업대출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인 겁니다.
[인터뷰] 은행권 관계자
"가계대출의 큰 중심은 주택담보대출과 전세거든요. 은행 입장에서는 기업 쪽에 집중해서 지원하고 대출 성장세를 유지해 나가야 하는 상황인거죠."
하지만 주택대출에 비해 리스크가 높은 신용대출로 수요가 몰릴 경우 은행의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지난 4월 말 기준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0%지만, 신용대출의 경우 0.48%로 이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냅니다.
다만 실수요자에 대한 주택담보비율(LTV) 규제 등이 이번 대책에서 빠진 만큼 은행에 미치는 충격이 우려했던 것보다는 크지 않을 것이란 시각도 있습니다.
오히려 올 초부터 코로나19 영향으로 가계대출이 급격하게 늘고 있어 '속도 조절'이라는 순기능 역할을 할 것이란 설명입니다.
[인터뷰] 은행권 관계자
"올 상반기 가계대출이 너무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에 사실 은행 내에서는 속도 조절도 필요했어요."
은행들은 이번 대책에 대한 당국의 가이드라인을 받아 규제가 시행되기 전까지 전산 개발 등 준비 작업에 주력한다는 방침입니다.
한국경제TV 장슬기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