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 구현 및 시뮬레이션 통해 도시문제 해결
3기 신도시 도시계획에 우선 적용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00628/B20200628115447847.jpg)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도시 내의 문제점 해결에 나선다.
28일 LH는 "효율적 도시계획과 개발 프로세스 혁신을 위해 `LH형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 구축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디지털트윈`이란 사람·사물 등이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초연결돼 현실세계가 가상세계에 동일하게 구현되고 실제현상과 실시간데이터 수집·연계·분석을 통해 현실의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이다.
LH는 3기신도시 등 도시개발 정책사업 확대에 따라 계획 단계에서 도시·건축을 아우르는 입체적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계획안을 도출하는 `LH형 디지털트윈` 1단계 구축사업에 착수했다.
이번 사업에는 `IoT 연계 디지털트윈 플랫폼` 기술이 시범적용 되는데, 이는 스마트시티의 중요 요구사항인 `실시간 상황 인지`를 위해 지난 4월 LH가 개발한 기술이다.
이는 3차원 실내외 도시모델과 실시간 IoT 센서를 통합 개발한 기술로, 미세먼지와 실내점유자 모니터링 등 시민들이 원하는 정보를 3D 기반으로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한다.
LH는 1단계 디지털트윈 사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3기 신도시 도시계획에 우선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도시계획, 설계, 건설, 관리운영단계 등 도시의 성장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의사결정 지원 솔루션을 확장해 향후 모든 사업지구에 적용할 계획이다.
또 이 같은 입체 가상도시와 플랫폼 기술을 민간에 개방·공유할 계획이다.
한병홍 LH 스마트도시본부장은 "LH가 국내외 디지털트윈 기술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고, 관련 기술과 산업 육성해 세계에 수출하는 등 디지털 뉴딜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