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00627/B20200627130829833.jpg)
청와대는 글로벌 제약기업 아스트라제네카가 국내기업 SK바이오사이언스와 코로나19 백신 개발 협력에 나선 것에 정상외교의 성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선두에 서있다. SK케미칼의 자회사 SK바이오사이언스는 전날(21일) 보건복지부, 아스트라제네카와 코로나19 백신 ‘AZD1222’의 글로벌 공급을 위한 3자간 협력의향서를 체결했다.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22일 브리핑을 통해 "협력체계 구축의 배경에는 그동안 한국과 스웨덴이 정상외교를 통해 구축된 공고한 협력관계가 밑거름이 됐다"며 배경을 설명했다.
윤 부대변인은 "지난해 5월 문 대통령은 제약,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산업을 우리나라 3대 중점 산업으로 선정했고 정부는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을 수립해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6월 문 대통령의 스웨덴 국빈방문시 개최된 한-스웨덴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한 요한손 아스트라제네카 이사회 의장은 한국 정부의 혁신전략에 동참 의지를 밝히며 향후 5년간 우리돈 약 7천400억원 규모의 투자 및 협력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이후 보건복지부가 한국아스트라제네카를 통해 긴밀히 접촉하며 국내 백신생산을 위한 가교역할을 수행했고 이번 협력의향서 체결로 이어졌다.
이번 협력의향서 체결로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학 제너연구소가 개발하고 있는 백신후보물질을 SK바이오사이언스가 생산하게 된다.
윤 부대변인은 "이번 협력의향서 체결은 K바이오의 위상 제고는 물론 코로나19 백신의 국내수급과 관련해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기업의 백신생산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한편, 임상 3상에 진입해 성공 가능성이 높은 우수한 백신의 글로벌 공급망에 합류하게 되면서 국내 백신 수급 확보 정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