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에 8개 회사에서 11명의 사고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가장 많이 사망사고 발생한 곳은 GS건설로 나타났다. 지난 4월 6일 `새만금 신항 진입도로 및 북측방파호안 축조공사` 현장에서 부주의로 인한 굴착기 해상전복으로 근로자 1명이 사망했고, 이틀 뒤인 4월 8일 `이천~오산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 터널 첨단부 암반탈락으로 1명이 사망했다. 또한 5월 7일 안전고리를 미체결한 근로자 추락사고로 총 3명의 근로자가 사망했다.
SK건설은 4월 21일 `동래 3차 SK VIEW`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장비 전도로 1명이 사망했다. 6월 20일 `부전~마산 복선전철 민간투자시설사업` 현장에서 잠수사 1명이 사망했다. 2분기에만 총 2명이 사망했다.
그 밖에 현대건설, 대우건설, 롯데건설, 태영건설, 한신공영, 중흥토건 6개 건설사에서 부주의 등으로 1명의 근로자가 사망하였다. 특히, GS건설, SK건설, 현대건설, 롯데건설의 경우는 사망사고가 발생한 지 6개월이 경과하기 전에 또 다시 사망자가 발생했다. 현대건설은 최근 1년간 국토부에 신고된 건설현장 사망자 누적인원이 7명으로 가장 많은 상태다.
한편, 2분기 동안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발주기관은 부산광역시였다. 4월 9일 `하수관로신설 공사` 과정에 3명의 근로자가 질식사 한 후, 6월 23일 `부산 에코델타시티 상수도 인입공사`에서 1명이 작업부주의로 사망해 총 4명이 사망했다.
국토부는 사망사고를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차원에서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사망사고 발생 대형 건설사의 공사현장을 특별·불시점검을 실시했다. 점검결과 총 271건의 부적정 사례가 적발됐고, 부적정한 시공이 적발된 6건에 대해선 벌점을 부과할 예정이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건설현장이 안전한 일터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상위 건설사들이 솔선수범해 달라"며 "앞으로도 사망사고가 발생한 기업을 대상으로 집중점검하는 `징벌적 현장점검`을 꾸준히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00723/B20200723085719067.jpg)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