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가 1965년 수교 이후 최악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양국 시민의 상대국 정상에 대한 신뢰 역시 바닥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한 미디어이슈 `한·일 갈등에 대한 양국 시민 인식 조사`에 따르면 일본 시민의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신뢰와 한국 시민의 최근 사의를 표명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에 대한 신뢰는 매우 낮았다.
문 대통령에 대해 신뢰한다는 일본인은 2.4%에 머물렀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79.2%로 집계됐다.
한국인 역시 아베 총리를 신뢰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0.9%에 그쳤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93.7%였다.
또한, 양국 시민 모두 상대 국가와 국민에 대한 호감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일본 시민 가운데 한국에 호감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0.8%였으며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응답은 56.7%였다. 한국 시민 중에서 일본에 호감을 가진 비율은 15.0%였고,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응답 역시 64.2%로 집계됐다.
상대 국민에 대한 호감 여부에 대해서도 일본 시민의 11.1%만 한국인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고, 51.4%는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한국인 역시 일본인에 호감을 갖고 있다는 응답이 17.5%로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응답(48.6%)보다 적었다.
이처럼 한국 시민은 일본 국민에 대한 비호감보다 일본 국가에 대한 비호감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현재 한·일 관계 악화에 대한 국가별 책임 여부에 대해서는 양국 시민의 견해가 차이를 보였다.
양국 모두 `서로 반반의 책임이 있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지만, 일본인은 39.8%, 한국인은 75.1%로 각각 조사됐다. `상대국가의 책임이 더 크다`고 응답한 비율 역시 일본은 36.7%로 한국인(16.0%)보다 많았다.
다만, `자국 책임이 더 크다`는 응답은 일본 시민이 23.6%, 한국 시민은 8.9%였다.
양국 관계가 악화한 이후 상대국 제품 소비에도 큰 격차를 보였다.
한국 시민 중 국내에서 벌어지는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을 알고 있는 비율은 96.5%에 달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본 제품 구입이 줄었다는 응답은 80.0%였고, 일본 콘텐츠 이용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69.4%였다.
반면, 한국 제품과 콘텐츠에 대한 별다른 불매 운동이 없었던 일본에서는 일본 시민 중 31.1%는 최근 1년 동안 한국 제품 구입이 줄었다고 응답했고, 한국 콘텐츠 이용이 줄었다는 응답은 27.8%였다.
이 밖에도 `상대국은 경쟁 대상`이라고 인식한 비율도 한국은 80.8%로 대다수를 차지했지만, 일본은 40.8%로 절반에도 못 미쳤으며 `상대국은 경계 대상`이란 인식도 일본인은 63%, 한국인 83%로 각각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양국의 20∼69세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최종 응답자는 한국 1천명, 일본 742명이다.
문재인 대통령 - 일본 아베 총리 (출처: 뉴시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호규 기자
donnie@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