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00924/B20200924143408950.jpg)
국내 연구진이 외과적인 수술 없이 초음파만으로 암이나 종양 조직을 정확하게 없앨 수 있는 기술을 찾아냈다. 이 기술이 암·종양만 없애는 의료기술로 발전돼 향후 임상에 적용되기를 연구진은 기대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바이오닉스연구센터 박기주 박사팀이 고강도 집속 초음파 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리를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기존 초음파 의료 시술은 조직을 태우지만 이 기술은 물리적으로 파쇄가 가능하다.
지난 2019년 연구진은 기존 초음파 기술보다 수십배 더 강력한 수십 메가파스칼(MPa)의 음향 압력 세기를 갖는 초음파, 즉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이용해 열에 의한 신체의 손상없이 칼로 자른 듯 종양을 깨끗하게 파괴하는 원리를 발견했다.
이 기술은 열을 이용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조직을 파괴한다. 이 과정에서 강력한 초음파를 받은 목표 지점에는 수증기 기포가 생겨난다. 이 기포의 운동 에너지에 의해서 목표한 종양 조직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다만 목표 지점 주변에도 2차의 미세한 기포들이 생겨 원치 않는 부위까지 파괴될 수 있어 손상될 수 있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00924/B20200924143427207.jpg)
KIST 연구팀은 집속 초음파를 이용해 종양조직을 없앨 때 생기는 2차 미세 기포의 발생 원리를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수증기 기포에 의해서 전방위로 퍼져나가는 초음파와 지속적으로 입사되는 집속 초음파의 간섭이 원인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또 간섭되는 범위에서 2차 기포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실제로 초고속카메라를 통해 초음파가 간섭되는 범위와 2차 미세기포가 실제 생성되는 위치가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2차 미세 기포가 생기는 원리는 물론, 그 범위를 예측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타깃 조직만을 제거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설명이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00924/B20200924143445753.jpg)
KIST 박기주 박사는 "이번 연구는 초음파 초점에서 수증기 기포 발생 후에 초음파 산란효과에 의해서 미세 기포들이 순차적으로 생성된다는 것을 규명한 것"이라며 "개발된 수학 모델을 이용하면 기포의 발생 위치 및 파괴되는 종양 조직의 범위를 사전에 예측 하는 것이 가능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그는 또 "개발하고 있는 초음파 기술이 외과적인 수술 없이 종양조직만의 물리적 파쇄가 가능한 초정밀 집속 초음파 수술 기술로 발전되어 향후 임상에서 적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 및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창의형융합연구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음향 분야 권위지인 `Ultrasonics Sonochemistry`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초음파 에너지를 신체 내 원하는 타겟 위치에 모아 고열을 발생 시키면 외과적 수술 없이 조직을 태워 괴사시킬 수 있다. 현재 자궁근종,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암, 전이성 골종양 등에서 종양을 열을 이용해 파괴하는 치료 방법으로 임상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고열을 통해 조직을 태우다보니 열확산 현상에 의해서 종양 주변 조직까지도 태울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