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오늘 새벽에 끝난 뉴욕 금융시장 움직임부터 정리해주시지요.
-美 증시, 어제 이어 3대 악재 겹치면서 하락
-2차 팬데믹 우려, 겨울철 앞두고 확잔자 증가
-코로나 장기화→부실→충당→4분기 어닝 쇼크?
-경기 부양책 불확실, 대선 전에는 물 건너 가
-IMF와 Fed, 재정과 통화 ‘폭주 열차’ 주문
-IMF 총재와 Fed 의장 “플러그 일찍 빼지 마라”
-헤지펀드, 코로나 수혜주 중심으로 공매도 급증?
Q. IMF의 보고서 내용을 들여다보면 충격적인데요. 코로나 이후 각국의 재정지출이 늘어나면서 나라빚이 2차 대전, 대공황, 금융위기 때보다 더 컸다고 발표하지 않았습니까?
-코로나 재정지출, 전세계 나라빚 100% 육박
-작년비 11.7천억 달러, 1경 3400조원, 15.7%p↑
-선진국, 125.5%, 전년대비 무려 20.2%p 폭증
-2차 대전 124%, 대공황 80%, 금융위기 89%
-신흥국도 나라빚 65%, 위험수준인 70% 육박
-2차 대전 47%, 금융위기 직후 41%보다 높아
Q. 한 가지 궁금한 것은 이틀 전에 IMF가 내놓은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성장률을 높였는데요. 나라빚이 늘었는데 가능한 일입니까?
-IMF 세계경제전망, 6월 대비 0.8%p 상향
-미국 등 선진국, 6월 대비 무려 2.3%p 상향
-인도 등 신흥국, 6월 대비 0.2%p 하향 조정
-선진국 성장률 대폭 상향, 적극 재정지출
-신흥국 성장률 하향, 미온적인 재정역할 때문
-통화정책 면에서도, 선진국 중앙은행 ‘울트라’
-국가채무 논쟁 심화, 지속 성장 가능성 의무
Q. 나라 빚이 위험수준에 도달했다고 경고하면서 IMF 총재는 계속해서 재정이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목하고 있는데요. 왜 그렇습니까?
-코로나 위기 극복, 초저금리에다 유동성 공급
-debt deflation syndrome, 세계 부채 급증
-나라빚 놓고 ‘위기 온다’ ‘아니다 더 쓰자’ 논쟁
-MMT, 부채는 5배 이상 더 써야 한다고 주장
-현대화폐론자 대부분 좌파경제학자, IMF 총재?
-‘빚 갚지 말자’ 주장,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
-주류 경제학자, 과다 국가부채의 위험성 경고
Q. 트럼프의 대규모 경기부양책 주장과 IMF 총재가 빚내서 더 쓰자 주문한 이후 주목을 끌지 못했던 현대화폐론자의 주장이 힘을 받고 있지 않습니까?
-정치적 포퓰리스트 기승, MMT 주장에 공감
-트럼프 대선 교훈, 경기와 증시가 살아나야 연임
-파월의 변심, 경기회복 위해 재정지출 적극 지원
-중국일본·미국 등 적자 국채 발행 경기 부양
-한국, 내년 슈퍼예산 재정 적자 국채 발행 계획
-국채 화폐화, 중앙은행 ‘정치의 시녀’ 비판 급증
Q. 한동안 자취를 감췄던 세계적인 헤지펀드들의 공매도가 급증하고 있는데요. 나라빚이 크게 증가한 것을 염두해 둔 전략이 아닌가 하는 시각이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폭주하는 열차, 경기 회복돼야 멈출 수 있어
-경기회복 전 멈추면, 주가 폭락 등 대형 위기
-IMF와 Fed, 알면서도 ‘소나무 관솔’ 더 주문
-코로나 확진자 수, 겨울철 앞두고 늘어나 우려
-2차 팬데믹, 타이거먼트 등 헤지펀드 ‘공매도’
-노바백스·모더나·이노비오 등 공매도 급증
-MS·알파벳·구글·페이스북 등 기술주 공매도
Q. 최근 헤지펀드 공매도의 집중 대상이 되고 있는 면면을 살펴보면 2000년 닷컴 버블 붕괴 직전과 비슷하다는 시각이 나올 정도로 거품이 심하지 않았습니까?
-코로나 수혜주, ‘mania’ 논쟁 일만큼 급증
-하루 간격으로 사상 최고치 행진을 기록할 정도
-“오늘만 같아라” “주식시장이 미쳤다”라는 표현
-월가, 현 주가가 펀더멘탈 비해 높다는 점 인정
-주가수익비율(PER), 적정수준을 1.5배 뛰어넘어
-mania, 니콜라와 테슬라 악재도 기술주 매입
-지난 7월 이후 ‘비이성적 과열 논쟁’ 고개 들어
Q. 코로나 이후 주식 투자에 집중했던 투자자 입장에서는 정신이 확 드는 얘기인데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끝으로 말씀해 주시지요.
-나라 빚 논쟁, 증시에 영향 상대적으로 적어
-주가 향방, Fed 등 각국 통화정책기조에 달려
-‘그린스펀 독트린’과 ‘버냉키 독트린’ 논쟁
-그린스펀 독트린, 실물경제 여건에 맞춰 ‘긴축’
-버냉키 독트린, 고용 창출 미흡 금융완화 정책
-평균물가목표제, 고용 창출 위해 인플레 용인
-나라빚과 자산거품, “언제까지 용인할 것인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