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9일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3만7천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 감소한 반면, 최상층인 5분위의 월평균 소득은 1천39만7천원으로 2.9% 증가했다.
같은 기간 2분위의 소득도 1.3% 줄었지만, 3분위와 4분위는 각각 0.1%, 2.8% 늘었다.
하위 40% 가구의 소득이 줄어드는 동안 상위 60% 가구는 늘어난 것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에서 비롯됐다.
1분위의 근로소득은 월평균 55만3천원으로 10.7% 감소했다. 사업소득도 27만6천원으로 8.1 감소했다.
반면 5분위의 근로소득은 743만8천원으로 0.6% 줄어드는 데 그쳤고, 사업소득은 194만4천원으로 5.4% 증가했다.
추석 직전 4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에 따른 각종 지원금이 지급됐지만 이런 상황을 바꾸진 못했다.
1분위의 공적이전소득(정부 지원금 포함)은 58만5천원으로 5분위의 35만2천원보다 절대적으로 많았지만 작년대비 증가율로 보면 1분위가 15.8%로 5분위의 40.3%보다 낮았다.
5분위의 경우 지난해에는 별다른 지원금을 받지 못했지만 올해는 아동특별돌봄지원금을 받은 영향이다.
아동특별돌봄지원 대상인 중학생이하 자녀는 1분위보다 5분위에 많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소득상위 계층에게도 정부지원금을 주면서 소득격차가 더 벌어졌다는 의미다.
코로나19가 만들어낸 양극화로 빈부 격차는 심화됐다.
대표적인 분배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올해 3분기 4.88배로, 지난해 3분기의 4.66배보다 0.22배 포인트 올랐다.
작년보다 분배가 악화됐다는 뜻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내수·고용충격에 대해 정부가 4차 추경 등으로 대응해 소득 감소를 보완하고 분배 악화도 완화했지만 임시·일용직 근로자와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의 시장소득감소가 커 정부지원을 통한 소득·분배 여건 개선에는 한계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