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백신을 도입하기 위해 존슨앤존슨-얀센과 화이자와는 이달 중, 모더나와는 내년 1월을 목표로 각각 계약 체결을 추진한다. 앞서 구매 계약을 체결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내년 2∼3월 중에 국내에 들여온다는 계획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8일 온라인 정례 브리핑에서 백신 확보 계획을 이같이 발표했다.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물량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 해외에서 개발 중인 백신 4천400만명 분을 선(先) 구매해 내년 2∼3월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구체적으로는 백신 공동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1천만명분을, 글로벌 제약사와의 개별 협상을 통해 3천400만명분을 확보하기로 했다.
코백스 퍼실리티와는 구매약정을 맺고 지난 10월 9일 선급금 850억원을 지급했다.
개별 제약사의 경우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존슨앤존슨-얀센, 모더나 등 4개사와 선구매 계약 또는 협약을 체결했다. 이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와는 이미 1천만명분(2천만회분)을 공급받기로 계약을 마쳤다.
계약을 앞두고 있는 존슨앤존슨-얀센에서는 400만명분을, 화이자에서는 1천만명분(2천만회분)을 각각 공급받게 된다.
모더나에서는 1천만명분(2천만회분)을 확보할 예정이다.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얀센과는 빠르면 다음 주 정도에 계약이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며 "화이자(와의) 계약서도 현재 최종 검토하는, 법률 검토를 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들 4개 제약사 외에도 노바백스와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임 국장은 "오늘 아침에 노바백스와 구매 관련 협상을 정부 대표단이 했다"며 "물량과 관련해서도 논의가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물량이 어느 정도 도입될 수 있을지 여부는 아직 추가적인 협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코백스를 통해 확보한 백신도 내년 1분기에 도입할 수 있도록 논의를 진행 중이다.
임 국장은 "코백스를 통한 1천만명분의 공급 시기는 현재 논의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1차 공개 당시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사노피-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개발 백신 등 3가지 종류를 제안받았고, (우리가) 공급을 받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내년 1분기에 도입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코백스 집행부와 회의하고 있다"며 "다음 주에도 코백스 대표와 우리 관계부처 합동팀이 백신 공급 시기와 관련한 협의를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관련해선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위탁 생산할) `메이드 인 코리아 백신`이 내년 2월, 3월께 도입되고 여기에 따라서 접종을 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약 4천400만명분의 백신 물량은 확실하게 확보했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임 국장은 "내년이 끝나기 전에 4천400만명분의 백신은 확보돼 있다"면서 "이 중 개별기업 협상을 통한 3천400만명분의 백신은 확실하게 한국 정부에 공급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미국인 우선 접종`에 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인해 백신 도입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우려와 관련해서도 영향이 없다고 자신했다.
임 국장은 "화이자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모두 행정명령과 무관하게 백신을 공급하겠다는 의사를 현재까지 밝혔다"며 "`행정명령으로 한국에 도입되는 백신에 차질이 있겠다`는 언론 보도 내용은 맞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에서 개발 중인 백신 관련 질문에는 "지금 당장은 우리나라의 백신 기술이 서구 글로벌 제약기업에 비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희망컨대 한국이 만든 백신은 내년 말, 내후년 초 정도면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답했다.
우리 정부가 도입을 추진 중인 백신은 크게 mRNA(메신저 리보핵산)를 이용한 백신과 바이러스를 전달체(벡터)로 이용한 형태 등 2개 플랫폼으로 나뉜다.
화이자와 모더나가 개발 중인 mRNA 백신은 단기간 내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존슨앤존슨-얀센은 항원 유전자 일부를 무해한 바이러스에 삽입해 접종하는 전달체 백신을 개발 중이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