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와 삼성전자 등 거론돼
인텔, 7나노 공정 6개월 늦어져
헤지펀드가 기술력 비판하기도
삼성, 파운드리 격차 좁힐 기회
<앵커>
마지막 키워드는 `구원투수는 삼성?`으로 돼 있습니다.
야구 얘기를 하는 것은 아니겠고,
삼성이 누구를 구원한다는 겁니까?
<기자>
네, 미국의 인텔이 자사 칩 생산의 일부를,
삼성전자 등에 맡기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와 관련해
"인텔이 삼성전자, TSMC와 일부 칩 생산 아웃소싱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런가보다 하실 수도 있지만 사실 이게 굉장히 이례적인 일입니다.
인텔은 외주 생산을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데,
자체적으로 칩을 설계·생산하고 판매까지 하는 그야말로 `반도체 제국`이기 때문입니다.
<앵커>
그런데 인텔이 갑자기 왜 삼성전자에 외주를 준다는 겁니까?
<기자>
바로 생산 기술이 삼성전자나 TSMC보다 못하다는 지적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인텔은 회로선폭 10나노미터 공정에서 제품을 양산 중인데
회로선폭이 좁을수록 더 작고 효율성이 높은 고성능 반도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현재 10나노미터 이하의 미세 공정은 삼성전자와 TSMC만 가능합니다.
인텔은 경쟁 업체인 AMD에서 이미 생산하고 있는
7나노미터 반도체 개발에서 완성도, 그러니까 수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말에는 인텔의 지분 0.5%를 보유한 헤지펀드가,
공개적으로 인텔의 기술력을 비판한 사례도 있고요.
이러자 업계에서는 일부 반도체 생산 물량을 외부에 맡긴다는 얘기가 나온 겁니다.
<앵커>
반도체 업계를 주름잡던 인텔이 예전같지 않다는 거군요.
<기자>
네, 인텔은 그야말로 반도체 업계의 제왕이었는데요.
창업자 고든 무어의 `무어의 법칙`을 앞세워서
메모리부터 중앙처리장치(CPU), 서버칩까지 업계 표준을 제정해온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러나 이제는 부도설이 돌던 AMD에도 위협을 받고 있고,
큰 고객인 애플마저 맥북에 인텔 CPU가 아니라 자체 칩을 넣겠다고 발표했죠.
전문가들은 "너무 오래 업계를 지배하면서 자만에 빠진 탓"이라고 지적합니다.
<앵커>
삼성전자와 TSMC 두 회사를 저울질 하는 것 같은데,
어떤 회사가 인텔과 손을 잡게 될 가능성이 높나요?
<기자>
아직까지 두 업체 모두와 손을 잡을 지,
어느 한 곳과 손을 잡을 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한 곳을 선택한다면 현재까지는 TSMC가 가져가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의 중론입니다.
전체 파운드리 시장에서 1위는 TSMC, 2위는 삼성전자로,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으로 각각 54%와 17%입니다.
점유율로 놓고보면 TSMC가 압도적으로 높고,
이미 인텔 물량을 수주하기 위한 라인 구축에 들어갔다는 소식도 들립니다.
다만 삼성전자 역시 기회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인텔이 원하는 10나노 이하 미세공정에서는 각각 60%와 40% 비율로 격차가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 과거 인텔이 삼성전자와 협력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는데요.
2019년 4월에 `Anyoung haseyo(안녕하세요)`란 제목의 사진이 트위터에 올라왔습니다.
사진에 있는 이 인물은 인텔의 라자 코두리 수석 부사장인데,
삼성전자의 경기 용인 기흥사업장 조형물 앞에서 찍은 사진을 자신의 계정에 올린 거죠.
이 사진으로 인텔이 삼성전자와 협력하기 위해 방문했다는 소식이 퍼졌지만,
아직까지는 어떤 내용도 공개된 것은 없습니다.
<앵커>
이번 외주물량을 받아낸다면 삼성전자에게는 기회가 되겠습니다.
<기자>
네, 일단 TSMC가 인텔과 손잡는다고 해도,
TSMC는 인텔 물량만큼 다른 고객의 주문을 빼야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TSMC에서 `팽`당한 고객이 고려할 수 있는 곳은 삼성전자가 유일한 상황입니다.
혹여 반전이 나와 인텔이 삼성전자를 택한다면,
`TSMC를 기술력으로 이겼다`는 훈장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또 매출이 늘기 때문에 삼성전자의 실적도 좋겠죠.
삼성전자가 올해 주력인 메모리 D램의 슈퍼 호황이 기대되는 데다,
지난해부터 퀄컴, IBM, 엔비디아 등 파운드리에서 수주를 따냈는데요.
증권가는 당장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매출이,
지난해 14조원에서 올해 최대 20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기대하는 상황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