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10215/B20210215105309690.jpg)
국내 부호와 연예인 등이 많이 사는 곳으로 유명한 서울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이 7년 연속으로 전국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 자리를 차지했다.
직방에 따르면 한남더힐은 지난해 10월 전용면적 243.642㎡가 77억5천만원에 팔려 전국에서 가장 높은 매매가를 기록했다.
한남더힐은 지난 2014년 65억6천500만원을 시작으로 매년 최고 실거래가 1위 기록을 차지하며 7년째 전국 최고 매매가 지위를 유지했다.
직방은 "한남더힐이 거래되기 전 서울의 최고가는 40억∼50억원 선이었으나 한남더힐이 거래되기 시작한 이후 70억∼80억원 선으로 크게 높아졌다"고 밝혔다.
지난해 매매가 상위 100위에는 강남구 아파트가 53개로 가장 많았고 용산구 26개, 서초구 25개, 성동구 6개 등이 뒤를 이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10215/B20210215110024520.jpg)
1년간 가장 많이 오른 아파트는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7차 전용 245.2㎡로 2019년 52억원에서 지난해 67억원으로 15억원 급등했다.
강남권 주요 단지에서는 1년 새 10억원 넘게 오른 아파트가 속출했다.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7차 전용 144.04㎡은 14억7천만원,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1차 전용 222.48㎡는 13억5천만원 올랐다.
강남구 청담동 이니그마빌2차 전용 230.69㎡도 12억6천만원, 서초구 반포동 한신3차 전용 108.89㎡는 10억4천900만원 상승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고가 주택 구입 시에 대출 규제 등이 시행되고 있지만 초고가 아파트를 거래하는 수요는 자기자본만으로 구매여력이 있는 경우가 많아 거래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