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제전망과 통화정책 ‘불일치’ 월가 “향후 증시 흐름, 파월과 Fed가 문제다”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입력 2021-03-18 09:11   수정 2021-03-18 09:11

    방금, 세계인의 이목을 끌었던… 올해 두 번째 연준 회의결과가 발표됐는데요. 발표 내용은 이미 전해 드렸는데요. 이 시간에는 보다 심층있게 진단해 보고, 특히 시장에서 궁금해하는 사항이 풀렸는지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Q.안녕하십니까? 먼저, 시장 상황부터 정리해주시지요.
    -회의 결과, 예상대로 통화정책 변화 無
    -기준금리, 현 수준인 0∼0.25% 유지
    -양적완화, 매월 1200억 달러 매입 유지
    -월가, 경제전망과 통화정책 ‘불일치’ 부각
    -외줄타는 Fed와 파월, 新테일 리스크로 부상
    -월가의 궁금증, 3월 Fed 회의로 잠재우지 못해
    -국채금리 부담, 기술주→경기주로 갈아타라!
    Q.이번 회의의 관심사를 순서대로 알아보죠. 이번에 Fed가 경제전망 수정치를 얼마나 상향 조정하느냐도 관심이 되고 있지 않습니까?
    -작년 12월 Fed, 올해 성장률 4.2%로 전망
    -파우치 소장, “We are almost there” 발언
    -대규모 경기 부양책 추가, 1조 9천억 달러
    -포스트 코로나, 경제활동 재개→경제 회복
    -OECD 6.5% 골드만 6.9% 모건스탠리 7.3%
    -Fed, 종전의 입장 바꿔 성장률 대폭 상향
    -3월 Fed 수정 전망치 6.5%, 작년 12월 3.2%
    Q.성장률 전망뿐만 아니라 Fed의 양대 목표인 물가와 고용과 관련된 전망도 어떻게 수정됐는지, 말씀해주시지요.
    -파월, 양대 목표와 관련해 가장 보수적 입장
    -인플레이션 우려 “일시 현상, 우려할 바 아냐”
    -파월, 고용창출 목표달성 2∼3년 걸려도 못해
    -3월 Fed 경제전망, 양대 목표지표 상향 조정
    -근원PCE 상승률, 작년 12월 1.8%→3월 2.2%
    -실업률, 작년 12월 5.0%→3월 4.5%로 대폭 개선
    -K자형 고용시장, 저소득층 영구적 실업 해결 과제
    Q.Fed의 경제전망이 대폭 상향 조정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기자회견에서 파월 의장의 발언이 크게 바뀌지 않는 것은 왜 그런 걸까요?
    -코로나, ‘거시경제의 정형화된 사실’ 흐트러져
    -성장률 6%, more harsh jobless recovery
    -질적으로 K자형, ‘부익부 빈익빈’ 현상 심화
    -Fed 양대 목표, 성장률보다 물가와 고용안정
    -실업률 6.2%, 완전고용 달성까지 금융완화책
    -equitable growth, ‘K자형’ 양극화 개선 병행
    -통화정책 한계, 재정이 적극적 역할해야 할 때
    Q.파월 의장은 그렇다치더라도 다른 연준 의원들의 성향은 알 수 있는 점도표는 어떻게 바뀌었는지 말씀해주시지요.
    -점도표, 경제전망과 맞춰 1년에 4번 발표
    -점도표, Fed 의원 18명의 금리변경 시점 전망
    -3월 점도표 결과, 파월 입장보다 더욱 주목
    -3월 점도표, 12월 대비 금리인상 시기와 폭 확인
    -작년 12월 점도표
    -21년 동결→22년 1명 인상
    -23년에는 5명 금리인상 예상
    -올해 3월 점도표
    -21년 동결→ 22년 4명 인상
    -23년에는 7명 금리인상 예상
    Q.또 하나의 관심사였던 장기금리를 안정화시키는 이른바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정책이 나오느냐도 관심이 되지 않았습니까?
    -지난 2월 이후, 인플레와 국채금리 상승 부담
    -대규모 부양책, 인플레와 국채금리 부담 가중
    -평균물가목표제, 일시적 기대인플레 상승 용인
    3월 회의 최대 관심사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OT, 단기채 매도 재원→장기채를 매입하는 정책
    -단기금리 상승, 자산거품과 달러 가치 폭락 방지
    -장기금리 인하, 투자 유도로 경기회복과 고용창출
    -OT, 테이퍼링 사전조치…파월, 선택 쉽지 않아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SLR) 규제 연장 발언 거부
    Q.3월 Fed 회의 직전에 불거진 문제입니다만 고용 문제를 두고 입장 차가 커서 갈등설이 나왔던 옐런을 의식하는 발언이 나왔습니까?
    -양대 수장, 고용시장 진단과 전망 입장차 커
    -파월, 고용창출 목표달성 2∼3년 걸려도 못해
    -옐런, ‘일자리 붐’으로 내년에 완전고용 달성
    -Fed, 양대 목표 설정 이후 ‘고용목표’ 중시
    -파월 시각, 금융완화 정책 2023년까지 지속
    -옐런 시각, 시차하면 감안시 올해 안에 테이퍼링
    -Fed의 3월 전망, 완전고용 23년에 달성 가능
    Q.3월 경제전망과 Fed회의 결과를 보면 일치하지 않는다면 평가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왜 경제전망은 상향 조정하는데 통화정책은 그대로 유지하는 것입니까?
    -코로나 사태, 금융위기보다 강한 금융완화
    -경기 부양과 출구전략, 동시에 필요한 상황
    -조기 테이퍼링 추진, ‘에클스 실수’ 저질러
    -에클스 실수, Fed와 Fed 의장의 최대 치욕
    -대공황 이후 Fed 통화정책, ‘불가역성’ 중시
    -통화정책 불가역성, 기조 변경은 쉽지 않아
    -13년 테이퍼링 첫 언급 이후 15년 금리인상
    -3월 이후, 파월 발언과 3월 Fed 회의 ‘재확인’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