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폐된 실내선 거리두기 효과 없다"

입력 2021-04-25 07:38   수정 2021-04-25 07:47

MIT연구진 "환기 자주하면 전파확률 10%미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실내 거리두기와 수용인원 제한이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4일(현지시간) 미국 CNBC방송과 매사추세츠공대(MIT) 교내언론 `MIT 뉴스`에 따르면 이 대학 화학공학과 마틴 Z. 바잔트 교수와 수학과 존 W. M. 부시 교수는 실내 공기전파 위험도를 산출하는 모델과 이를 토대로 한 방역지침을 만들어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최신호에 논문으로 게재했다.

바잔트 교수는 "실내 거리두기는 그다지 도움 되지 않는다"고 전제했다. 같은 실내의 모든 사람이 사실상 똑같이 위험하다는 것이다. 그는 "실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할 때 6피트(약 1.8m) 거리두기는 특별히 별 이득이 없다면서 실내에서 60피트(18m) 거리를 두더라도 같은 위험에 처한다"고 주장했다.

사람들이 호흡한 공기는 실내 곳곳에 내려앉는데 마스크를 쓴 사람은 숨을 더욱 많이 들이마시는 경향이 있어 코로나바이러스가 실린 침방울이 퍼져있는 `배경공기`에 더 노출된다는 점을 이유로 제시했다.

CDC 등 보건당국들은 대체로 1.8m 거리두기를 권고한다. 이에 그는 "세계보건기구(WHO)나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실내에서 거리를 둬야 하는 타당한 이유를 제시한 적이 없다"라면서 "내가 알기론 (실내 거리두기는) 오직 재채기와 기침에 관한 연구에 기반했는데 (기침과 재채기로 나오는) 큰 침방울은 바닥에 떨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잔트 교수는 실내 수용인원 제한 지침에 대해 시간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인원만 제한하면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실내에 20명이 1분간 모이면 괜찮겠지만 수 시간 모여있다면 괜찮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설명했다.

교수들은 공기 교환율이 높은 넓은 실내공간에서 사람들이 마스크를 썼다면 코로나19 전파율이 떨어지고 격렬한 호흡기 활동이 이뤄진다면 전파율이 높아지는 점에 착안해 전파위험도를 정량화하기도 했다.

이들은 `누적 노출 시간`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는 감염자 1명이 공간에 들어왔을 때 공기전파가 이뤄질 확률이 10% 미만인 시간을 의미하며 환기·공기정화 빈도와 공간의 크기, 공간 내 사람의 호흡률과 마스크 착용 여부, 사람들이 실내에서 어떤 활동을 하는지 등을 토대로 산출된다.

바닥면적이 92.9㎡이고 평균 층높이가 3.66m인 식당으로 시간당 9번 환기되고 환기시스템 필터는 `머브(MERV) 6등급`일 경우 성인 25명이 마스크를 쓰고 대화하며 57시간 생활해도 감염자 1명이 들어왔을 때 공기전파가 발생할 확률이 10% 미만을 유지한다는 결과가 나온다.

바잔트 교수는 실외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채 거리두기를 하는 데 대해선 "공기흐름을 보면 감염된 공기는 스치고 지나가 전파를 일으킬 확률이 매우 낮다"면서 "야외에서 사람들이 밀집했을 때가 문제 될 수 있는데 3피트(약 91㎝)정도만 떨어져도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