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가 3년 8개월만에 가장 크게 올랐습니다.
정부는 일시적 상승으로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하지만, 앞으로 공공요금 인상 등 잠복한 불안요인도 많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강미선 기자입니다.
<기자>
장바구니 물가와 직결되는 농축수산물값이 크게 오르면서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2.3% 상승했습니다.
3년 8개월만에 가장 큰 상승폭입니다.
대파 270%, 사과 52%, 달걀 37% 등 신선식품 지수는 14.6%나 뛰었습니다.
밥상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서민들의 물가부담은 커졌습니다.
[이 모씨/서울 영등포구: (물가는 너무 비싸) 뭐든지 다 비싸. 코로나 전보다 훨씬 많이 비싸죠. 코로나하고 야채값하고 비례가 되는지…]
[식당 상인/서울 영등포구: 계란은 배가 더 뛰었고요. 그리고 코로나 때문에 장사가 더 안 되는데 상업인들은 가격까지 더 비싸지니 팔리지도 않고 …]
휘발유와 석유류가 13%대 상승률을 기록하는 등 국제유가 오름세도 물가상승을 부추겼습니다.
전세는 3년만에, 월세는 6년만에 각각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정부는 일시적인 물가상승이라며 물가안정목표인 2%를 상회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억원/기획재정부 1차관: 2분기의 일시적인 물가 상승이 과도한 인플레이션 기대로 확산되지 않도록 물가 안정 노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억눌러 온 전기, 수도, 시내버스 요금 등 잠복해 있는 불안요인이 많아 앞으로 물가가 안정될지는 미지수입니다.
만약 인플레이션의 기준선으로 통하는 물가 2% 선을 넘는다면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에도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신관호/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물가가 2% 정도 유지되면 문제가 없습니다. 그거보다 많이 올라간다면 자원배분 왜곡이 생길 수 있고, 돈을 빌려준 사람은 돈의 가치가 떨어지니까 원치 않은 부의 재분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경기 회복 조짐 속에 불거진 물가불안이 서민가계와 정부 경제운용을 더욱 어렵게 하는 걱정거리로 떠올랐습니다.
한국경제TV 강미선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