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고차 시장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매매 사고는 끊이지 않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기업의 시장 진출이 대안으로 나오고 있지만 이를 두고 업계 내부의 갈등은 커지고 있습니다.
먼저 신재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230만 대를 넘나들던 중고차 시장은 지난해 250만 대를 훌쩍 넘겼습니다.
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중고차를 사고 파는 플랫폼들 또한 대거 늘어났습니다.
문제는 중고차 거래가 급증하면서 강매나 허위 매물 같은 부작용도 끊임 없이 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최근 60대 가장이 중고차 매매 사기단에 속아 자동차를 강매당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민적 공분을 사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기자 스탠딩 : 이러한 피해는 비단 중고차를 살 때만 생기는 일이 아닙니다. 반대로 중고차를 팔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직장인 강 씨는 몇 해 전 중고차를 팔면서 아찔한 경험을 했습니다.
현금으로 차 값을 후하게 쳐 주겠다는 한 중개상을 믿고 중고차를 팔았는데 문제는 그 다음부터였습니다.
중개상은 차량 결함을 이유로 들며 자꾸 수리비를 청구한 겁니다.
이미 차량이 중개상에게 넘어간 상황에서 강 씨는 차 상태를 확인할 방법조차 없었고 결국 소송을 걸겠다는 압박에 못 이겨 중개상의 요구를 들어줄 수밖에 없었습니다.
수리비 명목으로 자그만치 차 값의 20%나 되는 돈을 돌려준 겁니다.
[강희상(가명) / 직장인 : 지금까지 잘 타고 있었는데 고장이 났다는 거예요. 다시 차를 인수해 올 수는 없지 않습니까. 이미 다른 차를 구입했는데. 울며 겨자먹기로 돈을 지불했어요. 조금 있다가 등속조인트가 금 갔다는 얘기를 하는 거예요. 이미 비용을 지불했는데 다시 갖고 올 수도 없어요. ]
갈수록 줄고 있다고는 하지만 중고차 관련 피해는 해마다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고차 시장 경쟁은 치열하지만 그에 준하는 시장 개방은 이뤄지지 않다 보니 소비자 피해가 끊이지 않는 거라고 지적합니다.
[이항구 / 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 : 경쟁이 심화되다 보니 예기치 못했던 불미스런 사태들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결과적으로 문제점들의 원인은 소비자와 판매자 간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 거래의 투명성 문제, 자동차의 품질 문제 등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피해를 막고 거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최근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출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중고차 업계는 대기업 진출이 시장을 정화하기 보단 시장 독점으로 또 다른 문제를 가져올 거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신재근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