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인상을 공식화하면서 부동산 주식·코인 투자 열풍으로 쌓일 대로 쌓인 가계부채에 위험 경고음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자가 비싼 2금융권에 빚이 많은 다중 채무자 대출액만 500조원을 넘어 금리 인상이 본격화되면 다중채무자들이 가계부터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집니다.
이어서 전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올 1분기말 기준 가계 빚은 1,765조원.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역대 최고치입니다.
최근 두달간도(4∼5월) 평균 한 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7조3천억원이나 불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중앙은행의 기준금리까지 오른다면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추가 인상으로 이어져 가계부채는 한계 수위를 넘게 됩니다.
특히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70%를 웃도는 상황. 지금으로선 한은이 금리를 조금만 올려도 대출자들이 내야할 이자는 크게 불어난다는 의미입니다.
가계부채의 규모도 규모지만, 질이 더 문제입니다.
`영끌`·`빚투` 열풍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청년층, 소상공인 등 다중채무자는 420만명을 넘어서 대출금액만 518조원에 육박하고,
연 소득의 4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쓰는 이들도 전체 대출자의 30%에 달합니다.
다중채무자는 보통 은행에서 대출이 안돼 이자가 비싼 2·3금융권에서 돈을 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올 하반기 정부의 코로나19 대출 만기연장과 이자상환 유예가 종료되고 본격적인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경우 다중채무자가 가계부채 부실의 뇌관이 될 수 있단 얘깁니다.
[금융권 관계자 : 2금융권에서 대출을 풀로 받은 분들이 그 다음 2금융권 대출로 가거든요. 2금융권은 신용등급이 일정 등급 이하인 분들이 신청하기 때문에 가계부채 측면에서 건전성 이슈가 터지면 2금융권부터 터지는 거죠.]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이 불가피해진 만큼 지금부터라도 부실 대출이 더 늘어나지 않도록 대출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그동안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변동금리 대출이 유리했지만 이제는 고정금리를 혼합한 상품 등 더 유리한 조건의 대출 상품 갈아타기를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안동현 /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 유동성 잔치가 끝난 만큼 꼭 필요하지 않은 대출은 되도록 삼가하고 있는 대출도 줄이는 방향으로 가는 게 가장 기본적인 대응이라고 봐야합니다. 혼합형 상품들을 개발해 그쪽으로 갈아타게 해서 연착륙을 시키는 방안이 은행과 대출자 입장에서 모두 좋은 거겠죠.]
변동금리 위험에 노출된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에 금융감독원도 조만간 금리인상 리스크에 대비한 대출상품 개편안을 내놓는다는 계획입니다.
한국경제TV 전민정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