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이 금리 인상 시계를 앞당기면서 한국은행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더 커졌습니다.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앞당겨지면 가계대출 총량 규제와 맞물려 대출을 더 받기 어려워지고 대출금리 상승 속도도 더 빨라져 빚 부담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전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예상보다 매파적이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 커질 수 있다. 필요 시 시장 안정화 조치를 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은행이 미 FOMC와 관련해 통화금융대책반 회의 후 내놓은 평가입니다. `시장 안정화 조치`를 재차 언급하면서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 겁니다.
한은의 기준금리가 오르면 개인이나 기업이 내야 하는 대출이자도 올라가는데, 미국이 금리를 앞당겨 올리고 우리나라도 보폭을 맞춰 나갈 경우 국내 가계의 이자 부담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우려됩니다.
문제는 미국 금리인상 신호가 짙어지기 전부터 우리나라 가계대출 금리는 급상승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한은 통계를 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지난해 12월부터 넉 달 연속 오름세를 보였는데, 4월 대출금리는 지난해 1월(2.95%) 이후 1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금융 당국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강화하자 은행들이 선제적으로 대출 한도를 줄이면서 대출 금리는 이미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 금리 인상 신호와 맞물려 대출 금리는 더욱 가파르게 오를 것이란 전망입니다.
[은행권 관계자 : 시장금리는 올랐고 총량규제 하니깐 금리가 확 뛰는 거죠. 왜냐면 수요는 그대로 100이 있는데 공급은 90으로 줄었어요. 그러면 가격이 10% 뛰는게 아니라 20~30% 뛰어요. 가격탄력도가 낮기 때문에. 시장 금리대로 움직이면 이렇게 뛰면 안되죠. 총량규제를 하기 때문에 뛰는 거예요.]
금융당국은 다음달 1일 DSR(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40% 규제를 앞두고 오늘도 은행연합회, 여신금융협회, 저축은행중앙회 등 금융 관련 협회 임원들을 불러 가계대출 관리를 주문했습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규제가 느슨한 2금융권으로 대출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를 차단하기 위해 주문강도를 높일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2금융권의 경우 지난해 총량규제를 없애주면서 규제가 완화됐지만 지금은 대출증가율이 5.4%~5.5%를 넘지 않아야한다는 금융당국의 권고를 받은 상황.
여기에 기준금리 인상까지 이어지면 기존 신용등급 7등급에서 6등급으로 대출 가능 조건이 깐깐해질 수 밖에 없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전언입니다.
한국경제TV 전민정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