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아닌 자동차 스스로 운전해서 달리는 자율주행차. 전기차와 더불어 미래차 시장 선점에 필요한 또 하나의 분야인데요.
하지만 국내 자율주행시대 개막까지 기술적으로, 제도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가 한, 두 가지가 아닙니다.
자율주행, 어디까지 왔고 또 어떤 과제들이 남아있는지 살펴봅니다. 먼저 임원식 기자입니다.
<기자>
현재 상용화된 자율주행 기술은 차량이 운전자를 보조하는 `레벨2` 수준입니다.
하지만 10년 뒤에는 자동차가 운전을 주도하고 사람이 부분적으로 개입하는 `레벨3` 기술이 신차의 절반에 장착될 전망입니다.
시장 규모는 71억 달러에서 오는 2035년 1조 달러 우리 돈 약 1,10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련 서비스 시장 또한 3조 달러를 웃돌 전망입니다.
기존 자동차 회사들은 물론 구글과 인텔, 엔비디아 같은 이른바 `빅테크`들이 자율주행 시장에 대거 뛰어든 건 이러한 배경 때문입니다.
현재 자율주행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과 인력 확보를 위한 전담 부서를 꾸리며 완전 자율주행 수준인 `레벨4` 기술 개발이 한창입니다.
반면 국내는 자율주행 투자가 사실상 제로에 가깝습니다.
기존 내연기관 차량의 부품 국산화율은 99%에 이르지만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의 국산화율은 38%에 불과한 게 현실.
자율주행산업 육성을 위한 협의체 또한 현대차와 카카오, KT 등 일부 기업들 중심으로 이제서야 문 열 채비를 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선두 그룹에 미국, 독일 기업들은 물론 `바이두` 등 자동차 후발국인 중국 기업까지 포진해 있는 상황이지만 국내에선 현대차가 앱티브와 손잡고 세운 `모셔널`이 전부입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 : `모셔널`의 경쟁력은 6~8위권 정도로 평가받고 있지만 국내업체만 놓고 보면 인력,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경쟁력이 뒤처지기 때문에... 순수하게 모셔널을 제외한 기존 우리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으로만 본다면 10위권 밖으로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자율주행 부진의 책임에서 정부와 정치권 또한 자유롭지 못합니다.
미국과 독일, 일본 등 주요 경쟁국들이 `레벨3` 자율주행의 상용화를 위해 기존 법·제도 정비에 속력을 내는 동시에 자율주행 데이터 확보를 위해 `레벨4` 테스트 무대까지 제공하고 있지만 국내에선 자율주행 개발 인력 육성이나 인프라 조성을 위한 이렇다할 지원책 조차도 찾기가 쉽지 않은 형편입니다.
자율주행 시대에도 자동차 강국의 위상을 이어 가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인 정부 지원책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임원식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