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식 투자자 '안절부절'…시진핑 3不 정책과 공동부유 정책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입력 2021-08-27 09:02   수정 2021-08-27 09:05

    시진핑 정부의 3불 정책에 이어 공동부유 정책이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과 중국 주식을 투자한 중학개미들의 최대 고민거리로 떠올랐는데 우려되는 것은 앞으로 개선될 가능성보다 더욱 악화될 소지가 높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긴급으로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는데요.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자리했습니다.

    Q.안녕하십니까? 본격적인 주제에 들어가기 앞서 어제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올렸는데요. 워낙 관심이 됐던 사안이라, 결과에 대한 얘기가 많지 않습니까?
    -금통위, 1년 3개월 만에 0.25%p 인상
    -인상 조치, 2018년 11월 이후 2년 9개월 만에
    -코로나 이후, 아시아 국가 중 제일 먼저 인상
    -기준금리 인상 이후, 뒷말 무성
    -한은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 ‘재차 의심’
    -2018년 11월 악몽 재현, “Lee’s failure?”
    -MZ 세대와 소상공인들을 위한 보완책 필요
    Q.어제 이 시간을 통해… Fed를 비롯한 중앙은행 리스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만 오늘 미 증시에는 연기설이 돌았던 테이퍼링이 제자리로 돌아와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까?
    -9월 FOMC까지 ‘Fed 리스크’ 최대 변수
    -카플란 총재, 테이퍼링 연기 주장 철회
    -에스더·블라드 총재, 조기 테이퍼링 주장
    -파월, 잭슨홀 미팅 ‘테이퍼링 언급’ 가능성 낮아
    -美 3대 지수, ‘카플란 효과’ 되돌림 현상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테슬라 주가 하락
    -韓 증시, 외국인 이탈 심화 여부 ‘주목’
    -오늘 국내 증시 하락시 ‘BOK 리스크’ 비판 가능성
    Q.시진핑 정부의 경제정책 대변화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공동부유까지 언급하지 않았습니까?
    -공산당 선언 100년, 경제정잭 대변환 추진
    -수출지향적 전략→내수 위주 ‘쌍순환 전략’
    -정치적, 시진핑의 장기집권 체제 구축
    -시진핑 정부 ‘3不 정책’…범위 확대 지속
    -지난 4월, 가상화폐 사용과 보존 전면 금지
    -지난달 23일, 사교육 전면 금지 조치 발표
    -부동산 구입 허가제, 中 전역에 확대 가능성
    -빅테크 규제에 이어 공동부유 언급
    Q.이 시간을 통해 여러 차례 언급해주셨습니다만 예상대로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가 확대되고 있지 않습니까? 지금까지 어떤 조치들이 나왔는지 정리해 주시지요.
    -시진핑 정부, 빅테크 기업 대상 ‘전방위 견제’
    -해외상장 규제, 미국 등 해외상장기업 허가제
    -빅데이터 규제, 기업 데이터 국가와 공유제
    -반독점 규제, 반독점법 빅테크에 적용 확대
    -금융업 규제, 빅테크 기업 금융겸업 신고제
    -지배구조 규제, 지분없이 기업지배(VIE) 금지
    -시진핑 정부, 빅테크 기업 대상 ‘전방위 견제’
    -알리바바·텐센트·디디추싱·바이트댄스 ‘곤혹’
    -테크래시 이어 ‘공동부유’, 빅테크 기업 강조
    Q.시진핑 정부가 공동부유를 외치자마자 테크래시에 시달렸던 중국 기업들이.. 앞다퉈서 기부 행렬이 잇따르고 있습니까?
    -中, 중국몽 목표 맞춰 ‘3대 마지노선’ 제시
    -마지노선 1 “사회주의 체제 도전하지 말라”
    -마지노선 2 “경제 독립성에 간섭하지 말라”
    -마지노선 3 “주권과 영토를 침해하지 말라”
    -6대 빅테크 기부 규모, 지난 1년 사이 30조원
    -지난 6월 이후, 2개월 반 사이 ‘14조원’ 집중
    -6대 빅테크 기업, 중학개미 다수 보유
    -알리바바 · 텐센트 · 바이트댄스
    -핀둬둬 · 메이퇀 · 샤오미
    Q.지난 3월 양대 대회 이후 3불 정책에 이어서 공동부유를 왜 외치고 있는지, 그 배경을 말씀해 주시지요.
    -공산당 창당 100주년, ‘샤오캉 사회’ 목표
    -샤오캉 사회 “인민 모두가 평등하게 잘 살자”
    -여러 시각 나오지만 실패한 것으로 평가
    -공산당 창당 100주년, ‘샤오캉 사회’ 목표
    -공산당 창당 당시보다 오히려 불균형 더욱 심화
    -도농, 소득계층, 공산당 권력층과 인민 불균형
    -80년대 이후 천안문 사태, 공산당에 최대 도전
    -제3의 천안문 사태 우려, 시진핑 앞날에 부담
    -샤오캉 대신 ‘공동부유’ 대외적으로 ‘중국몽’
    Q.시진핑 정부가 3不에 이어 공동 부유를 외침에 따라 마지막으로 급진적인 화폐개혁을 단행할 것이라는 시각이 확산되고 있지 않습니까?
    -시진핑의 비트코인 조치, 모디 조치와 동일
    -지난 2월 모디 정부, 비트코인 사용 전면 금지
    -부패 온상 비트코인, 제2 모디 화폐개혁 부상
    -시진핑, 모디식 화폐개혁 추진할 것이란 소문
    -모디, 2016년 급진적인 화폐개혁 추진 성공
    -2016년 11월 9일 기해 新舊 화폐 전격 교체
    -2016년 11월 30일 24시 기해 구화폐 ‘휴지’
    -화폐개혁 후 모디노믹스 추진, 中 새로운 정책
    Q.시진핑 정부의 정책 대전환에 따라 한국 증시가 부진한 요인을 꼽고 있는데요. 우리 입장에서도 중국 주식을 많이 보유한 중학개미들도 곤혹을 치르고 있지 않습니까?
    -中 영향력 막대, 일부 시각 “경제 식민지 됐다”
    -시진핑 정부, 중국 정부의 ‘팍스 시니카’ 구상
    -문재인 정부, 안미친중 정책으로 中 편향 구조
    -中 영향력 막대, 일부 시각 “경제 식민지 됐다”
    -“윔블던 효과가 심해졌다” 표현하는 것이 적절
    -위안화와 원화 간 상관계수, 코로니 직후 ‘0.8’
    -대중 수출 비중, 올해 상반기 25% 이상 차지
    -中 기업의 기부, 준조세로 수익성 감소 요인
    -코로나 사태 이후 GBK, 美 주식투자 최대 성과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